- 위키와 블로그 통합하기/임시 . . . . 6 matches
=== 모니위키와 텍스트큐브를 설치한다. ===
참고로 모니위키와 텍스트큐브는 일반 PC에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웹호스팅 업체에 돈주고 서버공간을 사서 거기에 설치하는 것입니다. 일반 사용자들은 24시간 돌아가는 호스팅 업체의 컴퓨터에 접속해 여러분의 사이트를 열람하는 것이지요.
이 스킨을 그대로 다운받으셔도 되긴 하는데, 저는 위키와 블로그를 통합하기 위해서 폭을 줄이고 이쁜 폰트로 나오는 제목 부분을 평범하게 바꾸어 놓았습니다. 그 파일도 올려보겠습니다.
만약 위키와 블로그 모든 페이지에서 랜덤문구 출력이 되게 하고 싶다....라고 하면 두집살림을 하면 됩니다.
{{|하나하나 따라가보니 정말 신기하네요 ^^! 그런 와중에 질문 하나 있습니다. 블로그에서 자동으로 위키 링크를 만들어주는 플러그인에서는 '위키와 블로그'와 같이 공백문자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공백문자가 '_'으로 변환되면서 '위키와_블로그'라고 링크가 걸리더군요. 문자가 변환되는 과정 없이 링크가 걸리게 할 순 없을까요? -- [파초] [[DateTime(2010-01-13T09:56:38)]]
- 리그베다 위키 . . . . 3 matches
1. 오리위키: 미디어 위키 기반. 나무위키와 같이 리그베다 위키 데이터를 승계했다. 대부분의 문서를 미디어위키 문법에 맞게 뜯어고쳐야 하기에, 다수의 참여자가 필요하다. 아직은 인지도가 낮아서, 발전 속도가 굉장히 더딜 것 같다.
* --Anha:"엔하위키 미러" 폐쇄 요구-- 엔하위키와 엔하위키 미러 쌍방 화해함.
* [http://mirror.enha.kr/wiki/FrontPage 엔하위키 미러] : 엔하위키가 먹통이 되거나, 느릴때 이용하면 좋은 곳. 엔하위키와는 별개의 사이트이다. 모바일 엔하위키 미러도 있다.
- 위키와 블로그 통합하기 . . . . 2 matches
== 위키와 블로그 통합하는 방법 1 ==
* 출처 : --http://seereal.org/wiki/wiki.php/블로그와위키를통합하는법-- [["위키와 블로그 통합하기/임시"]]
- BitNami . . . . 1 match
미디어위키와 같은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를 개인 PC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설치형 패키지를 무료로 제공하는 프로젝트. 원터치로 설치 및 삭제가 가능하며, 기존에 설치된 시스템과 별개로 작동한다. 사용자는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에서 사용할 port 번호와 사용자 ID/Password만 설정하면 된다.
- GuestBook/2011 . . . . 1 match
제가 사용하고 있는 [[스타호스트]]에서는 텔넷 or ssh 접속을 할 수 없습니다. 그리고 [["모니위키 인터웍스 에디션"]]이 기존 모니위키와는 다른 부분이 있기에 그냥 덮어씌우지는 않습니다.
- GuestBook/2012 . . . . 1 match
제가 사용하는 위키는 1.1.6cvs에서 제 나름대로 설정을 수정한 것이라, 익명님 위키와는 많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cafe24와 [[스타호스트]] 서버 설정과도 연관이 있고요.
- GuestBook/2016 . . . . 1 match
댓글 수정했습니다. 중괄호 때문에 발생하는 버그인 것 같네요. 그리고 위키와는 무관한 html css 관련 지식입니다. 검색하면 다 나와요 ㅎㅎ -- [파초] [[DateTime(2016-02-24T13:41:03)]]
- Starhost . . . . 1 match
월 트래픽과 Siteworx라는 GUI 기반의 제어판을 제공하는 유이한 업체[* 또 하나는 Codex]이다. 이 제어판을 이용하면 FTP 및 SSH 접속[* SSH 접속은 막혀있지만, 제어판이 있기에 불편한 점은 거의 없다.]을 할 필요가 없으며, 호스팅 서비스 무 경험자도 쉽게 접근할 수 있다. 또한 Google:"SimpleScript"를 이용하면 웹에서 인기있는 워드프레스나 도쿠위키와 같은 어플리케이션을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다.
- 위키위키 . . . . 1 match
깔끔하다. 그리고 테마도 그럴듯하다. 거기에 세계 사용율 1위라는 뭔가 있어보이는 안정감까지! 플러그인이 다채롭고 사용방법이 쉽다. 필요한 플러그인 zip 파일을 다운받아서, 특정 위치에 압축을 해제하면 바로 사용할 수 있다. 초보자에게 가장 추천하고 싶은 위키 엔진. 페이지를 텍스트 파일로 저장하는 것은 모니위키와 같다. 그리고 신기하게도 모니위키에서 삽질하다가 지친 사람들이 도쿠위키에 정착하는 경우가 많더라.
- 이미지가 보이지 않게 되는 문제 . . . . 1 match
1. 위키와 서버의 환경 파악 : 모니위키 버전은 1.1.3, 캐릭터셋은 UTF-8을 사용. 서버는 ffcomputing의 무료 계정으로 캐릭터셋은 UTF-8 이용. 서버의 php 및 아파치는 최신버전이다.
- 잡담/2015/01 . . . . 1 match
물론 그 외에도 빠른 속도, --다소 난잡하지만-- 유용한 기능, 저자동고유연성 등의 특징이 있지만, 다른 위키와 비교하면 딱히...우위에 있는 것 같지도 않다. 남아있는 장점은 '''익숙함'''. 마치 오래된 연인, 부부와도 같은 느낌이다.
- 파초 . . . . 1 match
한 때는 "위키와 블로그를 연동해서 둘다 멋지게 운영해보자"라는 꿈을 갖고 [[BlikiLink]]도 사용해 봤으나, 지금은 위키만 사용하고 있다. 하고 싶은 건 많고, 시간은 부족하니 둘 다 챙기는 것은 어려웠다.
Found 12 matching pages out of 805 total pages
You can also click here to search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