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어폰 . . . . 37 matches
#title 이어폰, 헤드폰
본인의 귀가 막귀라면 맘 편하게 5,000원~2만원 대의 저가형 이어폰을 구입해서 맘껏 굴리자. 4~10만원 정도를 투자하면 확실히 좋은 이어폰을 장만할 수 있지만 권하지 않는다. 한번 높아진 안목은 절대로~ 낮춰지지 않는다.
편의상 이 페이지에는 이어폰, 헤드폰을 같이 기재한다.
== [[파초]]가 사용한 이어폰, 헤드폰 ==
=== 묻지마 이어폰 ===
누군가에게 무료로 받거나, 1000 ~ 3000 사이의 가격에 구매했던 이름없는 이어폰. 사실 그 때는 음악을 그리 많이 듣는 편도 아니어서 음질에 대한 개념이 없었다. 다만 볼륨조절기 + 일제에 대한 막연한 동경을 가지고 있었다.
뭔가 제대로 된 이어폰을 사용하고 싶어서 지른 1만 7천원짜리 이어폰. 처음에는 조금 답답한 소리를 들려주다가, 어느정도 연륜(?)이 쌓이면 젠하이져 특유의 넓은 공간감과 적당한 음 분리, 귀를 울리는 저음을 표현한다. mx500과의 차이점은 볼륨 조절기가 없어서 화이트 노이즈 등의 음 왜곡이 발생할 확률이 적다는 것. ["젠하이져 mx 시리즈의 단점"] 때문에 한쪽 이어폰 선이 절단되어 사용하지 않고 있다. 한정판 답게 더이상 구할 수가 없다는 것이 못내 아쉽다. 단선된 이어폰은 집 구석 어느 한쪽에 잘 모셔져(?) 있다.
한국 내에서 [[mp3p]] 붐이 일었을 때, 대부분의 제품의 번들로 제공되어 국민 이어폰이라는 별명을 가질 정도로 주변에서 흔하게 볼 수 있었다. 음감의 밸런스가 잘 맞춰져 있기에 아직까지도 사랑받고 있으며, 그에 비례해서 짜가도 많다.
젠하이져 MX500-limited이 품절되자 mx500을 구입하려 했지만 인터넷 최저가가 2만원이라는 문제가 발생했다. [옥션]이나 [지마켓]에서 mx500 벌크 제품을 팔고 있지만, 실상 그것들은 99% 중국산 짜가였다. --그 와중에 발견한 볼텍스 vx500. mp3p에 oem으로 공급하고 있는 재고품인데, mx500으로 팔기에는 대경바스컴과의 상표권 문제가 있기에 vx500으로 판다는 설명이 그럴듯했고, 다른 이어폰 커뮤니티에서도 99% 동일한 물건이라는 평이 자자했기에 구매하게 되었다. 가격은 겨우 6000원! ...근데 지금은 이것도 품절이다.--
3~4만원 대의 중가 이어폰. 신형 MX 시리즈에 속하며, 구형보다 내구성과 음질이 향상되었다. 2012년 현재 단종.
저음 성향의 이어폰. 음향이 쨍한 느낌은 덜하지만, 노이즈 캔슬링 덕분에 주변 소음을 차단할 수 있어 좋다. 소니를 제외한 리시버와는 어울리지 않는다.
초기에는 10만원, 2012.6부터 6만원대로 하락한 이어폰. MX980의 Minor ver.이라는 평가답게 멋진 가격대 성능비가 쓸만한 이어폰이다. 더 자세한 내용은 해당 항목 참조.
=== 쿼드비트 (옵G 이어폰) ===
옵티머스 G 번들 이어폰. 일명 G어폰. 1.8만원 짜리 번들 이어폰이 8~10만원 대의 이어폰에서나 들을 수 있는 소리를 들려준다는 소문이 퍼져 폭발적인 관심을 받았다. 직접 들어 보니 [[MX880]]보다는 소리가 심심하지만, 적어도 5~6만원대 이어폰과 동급이라는 확신이 든다. 다만 기본 이어팁이 저질이라, 교체하기 전에는 딱 1.8만원대 이어폰의 모습을 보여준다. 2천원짜리 싸구려 이어팁이라도 상관없으니 반드시 교체하자. 컴플라이 폼팁 T500을 구입하거나, 가격이 부담된다면 이마트/홈플러스 등에서 저가 이어팁을 구입해도 좋다. 혹은 3M 귀마개에 구멍을 뚫어 이어팁으로 개조하는 사람도 있다.
스마트폰에서 전화 수신이 가능한 유선 이어폰. 보청기를 만들던 회사라 그런지, 착용감 / 음감이 정말 편안하다. 거기에 커널형 이어폰이라 장시간 음악만을 감상하기에는 참 좋다.
현재 제조사의 이어폰 시장 철수로 포낙 모델 전체가 단종되었다. 아직 일부 물량은 온라인 상에서 판매되고 있으니, 좋아하는 모델이 있다면 미리 쟁여두자.
[[블루투스]] 전용 이어폰. SBC 코덱을 채용하고도 음질이 좋으며, 배터리 유지 시간이 8시간이라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LDAC 코덱을 지원하는 Namu:"소니" Namu:"헤드폰". 편안한 착용감과 극강의 음질을 자랑한다. (물론 Z5라는 끝판왕이 있지만, 그건 너무 비싸니 논외). 휴대하기에는 이어폰이 편리하고, 집에서 음악 감상할 때는 LCD-2를 애용하기에 중고로 팔아치웠다.
5.9만원에 싸게 풀린 걸 구입. 저음은 무지 약하지만 여성보컬 및 어쿠스틱을 잘 표현한다.([[아이유]] 노래를 잘 소화한다.) 현악기/관악기 등의 날카로운 소리는 소름끼칠 정도. 쿵짝거리는 비트가 중요한 음악은 다른 이어폰으로 듣거나, EQ를 조절하는 것이 좋다. 그런 노래를 이걸로 들으면 맥빠진다.
이어폰 유닛 전체가 노랗게 반짝이는 황동으로 되어 있는데, 코팅이 금새 벗겨져서 부식된다고 한다. 하필이면 이어팁과 맞닿는 부분도 황동으로 되어 있다. 뭔가 투명하고 잘 굳는 물질로 코팅을 해줄 필요가 있다.
- WishList/end . . . . 18 matches
* [http://www.schezade.co.kr/board/note/board_view.html?no=122 Koss 헤드폰, 이어폰 리뷰 by 루릭]
=== 방수 이어폰 ===
=== 이어폰 ===
=== 포낙 커널 이어폰 ===
여자 보컬을 좋아하는 사람들에게 최고라는 포낙 [이어폰]. 가격은 10~20만원대이며, www.zound.co.kr 에서 구입할 수 있다. Flat하고 부드러운 음색을 들려주며, 필터에 따라 다른 소리를 들려주는 것이 특징이다.
옵티머스 G이어폰에 사용할 것. 생각보다 비싸다. 아마존에서 2 set 구입 완료.
=== 옵G [[이어폰]] ===
=== 젠하이져 이어폰 ===
* MX500 : 3~4천원짜리 싸구려 이어폰을 사용하다가, 처음 접하게 된 고가 이어폰이 젠하이져 MX500이었다. 그 작디작은 이어폰에서 공연을 하는 듯한 공간감 속에서 울려퍼지는 음악의 향연은 아직도 잊혀지지 않는다.
* MX400 : PC에 연결해서 사용하기에는 가격대 성능비가 그만인 이어폰. 음악 감상용으로도 정말 좋다. 젠하이져만의 포근한 느낌이 잘 살아 있다. 중음 부분이 살짝 아쉽다. 대경 정품은 1.8만원에 거래중. 2000~5000원짜리 복제품이 넘치므로 주의!
--> 이제는 오픈형 이어폰을 사용하지 않는다. 인이어 방식에 비해 소음 차폐가 불리하며, 착용감이 별로이다.
* Cowon IAUDIO E2 : 4GB에 6.3만원이라는 저렴한 가격 / 재생 시간은 11.5이며 액정은 없다. 음색과 휴대성은 끝장나게 좋다고 하는데...과연 액정이 없어도 사용하는 데에는 무리가 없을라나 -_-; 부가적으로는 구간반복 기능이 있다. 지원하는 음원은 MP3, WMA, Ogg, FLAC, WAV. 이어폰 출력은 16옴. 현재 잦은 고장으로 끊임없이 클레임에 시달린다고 한다. 안사길 잘했지 휴우,,
* Cowon IAUDIO 9 : 최근에 발매된 mp3p. 동영상도 지원하지만 화면이 2인치라서 활용할 일은 많지 않을 것 같다. 음악만 재생할 경우 최대 29시간이며, 텍스트 파일도 볼 수 있다. 다만 10만원 이하의 모델 용량이 2기가라는 게 조금 걸린다. 지원하는 음원은 MP3, WMA, Ogg, FLAC, WAV, APE. 이어폰 출력은 16옴
* 삼성 옙 u5 : USB 내장형 mp3p. USB 뚜껑을 분실할 위험이 높다는 것만 감수하면 이것보다 좋은 가격은 없다! [http://www.dnshop.com/front/product/ProductDetail?PID=B887_ONEDAYU5&CID=R2100025&Sid=0101_10070000_01_01&szSearchKeyword=mp3 2GB는 쿠폰을 적용해서 45000원] / [http://www.dnshop.com/front/product/ProductDetail?PID=B887_YP_U5A_YP_U5PACK&CID=R2100025&Sid=0101_10070000_01_01&szSearchKeyword=mp3 4기가는 쿠폰을 적용해서 53500원]이다. 거기다가 재생 시간도 최대 20시간으로 적당하다. 부가기능으로 구간반복을 할 수 있는 스터디 모드와 운동 칼로리를 계산해주는 프로그램이 들어 있다. 지원하는 음원은 MP3, WMA, Ogg, FLAC. 이어폰 출력은 16옴
이걸 구입하는 것 보다는 이어폰 or 헤드폰에 돈을 더 투자하는 게 좋다.
--가격대 성능비 우수. 5 ~ 8만원-- 이어폰이 휴대하기 편하다.
- MX660 . . . . 16 matches
젠하이져 오픈형[* 음량을 높이면 바깥으로 음악 소리가 들린다.] 이어폰. MX760과 같은 유닛을 사용하고 있으며[* 음질은 상호 동일], 이어폰 선 길이는 더 길다. 리모콘이 없는 기기에서 사용하기 좋다. 가격은 3만원 중반.[* 1~2만원 대의 MX660은 병행 수입품, 3만원 중반은 대경바스컴정품이다.]
* 이어폰 유닛 : 은색으로 도색되었고, 잘 빠진 조형으로 한층 세련되어 보인다. 몸을 움직이면 귀에서 쉽게 빠져 버리는[* 이어솜을 끼워놓으면 좀 낫지만, 답답한 느낌이 있어 잘 사용하지 않는다.] MX400, MX500과 달리 !MX660은 머리를 가볍게 흔드는 정도로는 이탈하지 않는다.[* 조깅정도의 가벼운 운동을 할때도 빠지지 않았다.] 또한 귓속을 압박하지 않고 적당히 걸쳐 있는 느낌이라 답답하지 않아 좋다. 좌우 유닛의 모습이 다르기에 오른쪽/왼쪽을 쉽게 구별할 수 있다.
* 이어폰 연결잭 : 확실히 고급스러우며, 케이블을 감싸고 있는 부분이 고무라서 앞뒤 좌우로 잘 구부러진다.
* 이어솜 : 기본 1 set를 제공한다. 펀치로 이어솜 중간에 구멍을 뚫어서 이어폰에 씌우면, 저음 향상 효과가 있다고 한다.
* 줄 감개 : 일반적인 줄감개와 달리 이어폰 유닛을 먼저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다. 2가지 사용방법이 있다.
1. 보관 : 유닛을 고정 시킨 뒤, 이어폰 줄을 부드럽게 둘둘 감는다. 이어폰의 단자 근처의 줄을 구멍에 고정시킨다.
1. 음악 감상 시 걸리적거리는 부분 처리 : 이어폰 유닛을 고정시키는 곳을 보면 이어폰 줄을 끼울 수 있는 구멍이 있다. 여기에 이어폰 줄을 끼우고 줄감개에 둘둘 감는다. 역시 이어폰 단자 근처의 줄은 아래쪽 구멍에 고정시킨다.
1. 어느 음악에나 잘 어울리는 올라운드형 이어폰.
가격대 성능비 좋고 음질도 만족스러우며 아무렇게나 굴려도 멀쩡한 이어폰을 원하는 사람에게 추천. 그거 쓸바엔 1만원 추가해서 더 좋은 거 사겠다고? 뭐, 예산이 충분하다면 안 말린다. -_-; "그럴바엔" 병은 언제나 주의하자!
MX400이 국민 이어폰으로 사랑받자, "병행수입품"을 빙자한 수많은 짜가들이 등장했다.[* 내부 구조가 단순해서 복제가 쉽다.] 실제 정품은 "대경바스컴 정품"이라고 씌여져 있다. 초기에는 쉽게 알아볼 수 있을 정도로 짜가와 정품의 차이가 심했지만, 점차 짜가의 완성도가 높아지고 있다. 직접 들어보거나, 주파수 대역을 검사하기 이전에는 구분하기 힘들 정도다. -_-; 그래도 짜가는 짜가. 정품과의 차이는 분명 있다.
[[이어폰]], Anha:젠하이저%20MX시리즈
- MX880 . . . . 9 matches
젠하이져에서 만든 오픈형 이어폰. 벤츠에서 디자인을 맡아 전작보다 깔끔하고 세련된 디자인을 선보이고 있다. 출시 초기에는 10만원 대 초반의 가격을 형성했으나, 2012년 초반에 가격이 7만원 이하로 떨어지고 있다. 샤워기를 연상시키는 독특한 디자인과 고가형인 MX980에 비해 크게 떨어지지 않는 음색과 음질로 해외에서는 꾸준히 사랑받고 있다. 국내에서는 수입 자체도 얼마 되지 않았고, 인지도가 낮아 큰 인기를 얻지는 못했다.
저음 성향이지만, 고음도 맛깔나게 잘 살리는 이어폰이 MX880이다. 공간감은 약간 좁아진 느낌이 들지만, 대신 보컬의 소리가 정말 깔끔하다. Sistar Loving U를 들어봤는데, 단단한 저음을 배경으로 고음이 쭉쭉 뻗어나가는 것이 참 시원시원하다. 이전 제품([[MX500]], [[MX660]])과 달리 고음부에서 소리가 찢어지는 느낌도 거의 없다. 제일 맘에 든 것은 별도의 에이징(귀이징, 뇌이징)을 거치지 않고 착용해도, 참 소리가 맛깔난다는 느낌을 받는 것. MX880은 포장을 뜯어서 바로 사용해도 될 정도로 내가 좋아하는 부분을 잘 표현하고 있다.
물론 10만원 이하의 보급형 이어폰인 만큼 Hi-fi에서 추구하는 Flat한 소리를 들려주지는 않을 것이다. 하지만 내게는 딱 이정도가 좋다. 원음 그대로를 듣기보다는, 적절히 양념을 친 달콤 쌉싸름한 음악이 좋다. 아, 그리고 결정적으로 Hi-Fi에 한번 빠지면, 높아진 눈을 낮출 수 없을 것 같아 필사적으로 참고 있다.
이어폰 유닛에 헤어라인을 넣어 한결 고급스럽게 보이는데, 얼핏 보면 샤워기가 연상된다. 유닛을 귀 구멍에 걸치면 금새 떨어질 것 같아 불안하다. 이어솜을 끼면 귀에 딱 밀착시킬 수 있으나, 저음이 확 부풀어 오르기에 이어솜 가운데 구멍을 뚫는 것을 추천한다.
오픈형 이어폰 답게 차음성은 0. 그래서 젠하이져 MX880은 조용한 곳에서 음악 감상할 때 사용하고, 지하철이나 버스같이 시끄러운 장소에서는 소니 노이즈 캔슬링 이어폰을 이용한다.
* [[이어폰]]
* [http://goldenears.net/board/1223013 젠하이져 (Sennheiser) MX880 이어폰 리뷰 - 측정편]
* [http://olpost.com/r/647806 (리뷰) 스타일과 음질 모두를 만족시키는 이어폰 젠하이저 MX880]
- mp3p . . . . 8 matches
태생은 PDA이지만, 멀티미디어 전용 기기를 표방하여 음원칩을 내장하고 있기에 음원 품질과 [[이어폰]] 성능만 받쳐준다면 다른 mp3p가 부럽지 않을 정도의 음질을 보장한다. 다만 크기가 제법크고, 배터리 효율이 그리 좋지 않는데다가, 용량도 1GB를 넘지 못한다.
[http://clien.career.co.kr/cs2/bbs/board.php?bo_table=use&wr_id=346683 소니 NWZ-S755 짤막 리뷰] : 번들 이어폰보다 지금 사용하고 있는 [[MX660]]이 더 맘에 든다. 난 역시 오픈형 이어폰만 써야 하려나? 노이즈 캔슬링이 되는 번들 이어폰은 시끄러운 장소에서만 사용할 생각이다.
휴대성이 좋으며 배터리도 오래가고, 전용 노캔 이어폰도 갖추고 있어, [[ZX100]]을 영입한 이후에도 애용하고 있다. 번들 이어폰은 성향이 다소 먹먹/벙벙하지만, 오히려 이런 부분 때문에 장시간 음악 감상하기 참 좋다. 특히 노캔은 비행기 등 소음이 많은 곳에서 잠잘 때 애용하고 있다. (볼륨은 0~1 정도)
부피가 크고, S786의 노캔 이어폰을 지원하지 않는 점이 아쉽다. ZX100 전용 노캔 이어폰인 MDR-NW750N은 전작 대비 노캔 성능이 우월하지는 않다고 한다. 거기에 얇은 선재를 사용하여 단선 위험이 높아진 것 때문에 구입을 망설이고 있다.
- NW-S786 . . . . 5 matches
||NW-S786, 이어폰(MDR-NC31, 노이즈 캔슬링 대응), 이어팁, 메뉴얼, 보증서
* 40만원이 훌쩍 넘는 보스 QC20보다는 성능이 떨어지겠지만, 만족스럽다. 노캔을 사용해도 충분한 사용시간을 보장한다. 그리고 작은 본체와 이어폰만 있으면 되기에 휴대성이 좋다. 그리고 QC20보다 훨씬 저렴하다.
기존 S-Series처럼 저음, 중음이 강화되어 있다. 아날로그 앰프라서 그런지 소리가 둔탁한 느낌이 든다. 물론 내가 디지털 앰프 기종을 사용해 본 적이 없기에...그냥 느낌일 뿐이다. 번들 이어폰이 맘에 안든다면, 조용한 곳에서는 다른 좋은 이어폰, 헤드폰을 사용하자.
[[노이즈 캔슬링]](능동 소음 감쇄)보다는 '귀에 딱 맞는 이어팁 사용'(수동 소음 감쇄)가 더 낫다고 얘기하는 사람도 있다. 하지만 이어팁은 오래 사용하면 귓구멍이 아프다. 소니 노캔 이어폰은 귀에 부드럽게 삽입되기에 훨씬 편안하고, 오랫동안 음악을 감상할 수 있다.
- 노이즈 캔슬링 . . . . 5 matches
원래 Anha:"조종사" 용으로 개발되었으나, 점차 일반 음악 감상용으로 보급되었다. 분석용 마이크, 분석 장치, 외부 전원이 필요하기에 보급율이 그렇게 높지는 않다. 그리고 인이어 이어폰으로도 충분히 소음을 차단할 수 있기에 노캔의 존재를 모르는 사람이 제법 많다.
버스, 기차 등의 '''규칙적이고 둔탁한 소음에 효과적'''[* 특히 [http://www.cdpkorea.com/zboard4/zboard.php?id=review&page&no=12471 코고는 소리를 잘 차단해준다]는 얘기가 있다.]이며, 특히 비행기에서 사용해본 사람이라면 노캔을 손에서 놓지 못한다. 다만 여성의 카랑카랑한 목소리 같은 고주파는 그냥 이어폰을 뚫고 들어온다.
노이즈 캔슬링 기기를 별도로 구입하는 게 부담스럽다면, 차폐가 잘되는 인이어 이어폰을 사용하자. 자신의 귀에 잘 맞는 이어팁을 사용한다면, 일정 수준 이상의 소음을 차단할 수 있다.
1. 소니 네트워크 워크맨 중고가형에 기본으로 포함. 전용 이어폰이 있어야 한다.
1. 노캔 [이어폰]: 마이크, 배터리, 분석용 Chip이 연결되어 있어 거추장스럽다.
- ZX100 . . . . 4 matches
노캔과 LDAC 코덱을 동시에 지원하는 몇 안되는 기기 중 하나이다. 참고로 노캔은 NW-ZX750N을 포함한 특정 이어폰/헤드폰을 연결했을 때만 작동한다. --더러운 소니 정책--
* MDR-NC31 ([[NW-S786]] 번들 [[이어폰]]): 노캔 전용이지만 ZX100에서는 작동하지 않는다. 처음 음악을 들었을 때, S786은 그냥 중급기였구나...라는 생각이 머리에 팍 꽂혔다. S786은 저음이 강화되어 있어, 보컬을 좀더 명료하게 듣기위해서는 EQ를 좀 건드려야 했다. 그럼에도 살짝 답답함이 느껴졌다. 근데 ZX100에서 음악을 들어보니...얼마나 기본기가 충실한 이어폰인지 새삼 깨닫게 되었다.
* 포낙 PFE122: 역시 포낙이라고 할만큼 플랫하고 깔끔한 음 분리가 돋보인다. 무엇보다 현악기 (바이올린 등)를 연주할 때의 그 표현력이 너무 맘에 든다. 고품질의 DAC와 명품 이어폰의 만남은 언제나 만족스럽다.
- 젠하이져 mx 시리즈의 단점 . . . . 4 matches
[[이어폰]] 줄이 Y로 갈라지는 부분이 약해서 1년 즈음 사용하면 줄이 갈라져 버리는 단점. 계속 사용하다 보면 줄 내부의 선이 끊어져 버리게 된다. 즉, 이어폰 모듈은 멀쩡하지만 선 때문에 버려야 하는 것이다. 가장 좋은 해결방법은 A/S를 맡기는 것이지만, 비용이 만만치 않다. 차선책으로는 Anha:순간접착제 로 갈라진 부분을 붙여버리는 것이다. 줄 내부의 전선이 밖으로 보이더라도 걱정하지 말고 순간접착제를 발라서 고정시키면 된다.
1. 신문지나 종이 등을 바닥에 펼쳐놓고, 갈라진 이어폰 선을 위에 올려놓는다.
젠하이져 new MX 제품군(ex: MX660)에서는 부드러운 소재의 이어폰 선 채택 및 Y자로 갈라지는 부분을 보강했기에 선이 갈라지는 일이 거의 없다.
- SPARQ GTX55-i52410 . . . . 3 matches
1. 간단한 문서 작성이나 웹 페이지 돌아다닐때는 상관없지만, 멀티태스킹으로 창을 여러 개 띄운다거나 멀티미디어 작업을 하면 팬이 미칠듯이 돌아간다. 만약 이어폰을 끼고 음악을 듣고 있다면 본인이야 상관없겠지만 주변 사람들이 짜증낼지도 모른다. 특히 야밤에 팬 소음이 거슬린다. 데탑 대용으로 구입한 사람이라면 상관없겠지만, 도서관에서 사용하기에는 문제가 있다. (웅~하는 소리보다는 휭~하는 바람소리가 들린다.)
1. 이어폰 단자의 화이트 노이즈 : 이 부분은 제품마다 편차가 있다. 내가 받은 제품의 경우 화노가 거의 느껴지지 않는다. 소프트웨어적으로 해결이 가능하니 크게 신경 쓸 필요는 없다.
1. --이어폰, 마이크, USBx2 등의 포트가 노트북 오른쪽 아래에 몰려있어 거추장스럽다. 마우스를 움직일 때 거슬린다.-- 딱히 중소기업 제품이라 그런 것은 아니다. 대기업 놋북 중에서도 이런 경우를 종종 볼 수 있다.
- 모토로라 엣지 40 . . . . 3 matches
* 기본 구성품은 뭐뭐 있나요 -> (열었을 때 로션향이 나는) 박스, 엣지40, 기본 투명 플라스틱 케이스 (엣지 사용성을 위해 옆 부분이 틔여있음), 유심 교환용 핀, USB C 이어폰, USB C-C 케이블, 고속 충전기.
* 기본 이어폰 음질은 어때요? -> 저가형 이어폰 음질입니다. 버튼과 마이크가 포함되어 있어서, 통화용도로 사용할 수 있고, 이어캡은 3가지 크기가 포함되어 있네요. 돌비 아트모스 앱으로 EQ를 지정할 수 있는데...그거 한다고 확 좋아지지는 않네요.
- PulseSmartpen . . . . 2 matches
패키지에 포함된 이어폰을 사용해서 3D 녹음을 할 수 있다. ...근데 이걸 어디에 활용하지?
공개되어 있는 pen cast는 모두 잡음 없이 비교적 선명한 음질 수준이지만, 정작 내가 사용했을 때는 잡음이 생각 외로 심하다. 3D Recording Headset을 사용하면 어느정도 보정할 수 있다. 하지만 안그래도 두꺼워서 필기하기 어려운 펜에 헤드셋(목걸이+이어폰 형태)를 연결하면 무지 불편하다. 개선이 필요한 부분이다.
- YuandaoAndroidPad . . . . 2 matches
* 전원 어댑터나 이어폰을 꽂았을 때, 잡아주는 느낌이 없고, 쉽게 빠진다.
액정 품질이 떨어지지만, 누워서 동영상을 보거나 간단한 게임하는 용도로는 쓸만하다. 다만 이어폰을 연결했을 때 잡음이 좀 들린다. N10, N12에서는 이런 현상은 없었는데...
- 스피커 . . . . 2 matches
[[음악]] 등을 듣기 위한 장치. 혼자듣고 싶을 때는 [[이어폰]]을 사용하자.
* [[이어폰]]
- ASUS C302 . . . . 1 match
* 최대 음량이 낮다. 70% 정도는 올려야 실내에서 영화 볼문한 수준이 된다. 그리고 70~100% 음량 차이가 미세하다. 다른 랩탑에서는 100% 올리면 너무 시끄러워서 사용하지 못할 정도였는데, Asus C302는 그래도 부족하다고 느껴진다. 크롬 확장기능 EQ를 사용하면 더 크게 들을 수 있으나, 이건 크롬 웹브라우져에서만 작동한다. 크롬OS 내장 비디오 플레이어, 구글 무비 등에서는 무용지물이다. 오기가 생겨서 방법을 더 찾아보니, 크롬북은 헤드폰 사용을 염두에 둔 것 같으니 좋은 블루투스 스피커 / 헤드폰 / 이어폰을 구입하라고 다수의 댓글을 발견했다 ㅋㅋㅋ
- Anker . . . . 1 match
* 사운드 : 스피커, 이어폰, 헤드폰, TWS 등
- Foobar2000 . . . . 1 match
차선책으로는 '''[WindowsVista]나 [Windows7]를 설치한 PC에 Foobar의 WASAPI component를 설정[* 다른 프로그램에서는 Output이 먹통이 된다.] 한 다음, 적당한 이어폰으로 음악을 감상하는 것'''이 있다.
- MX400 . . . . 1 match
#REDIRECT 이어폰
- OneplusNord . . . . 1 match
||3.5mm 이어폰잭 || X || '''O''' || '''O''' ||
- OptimusQ2 . . . . 1 match
--[http://www.ebay.com/sch/i.html?_nkw=lg+optimus+extended+battery 이베이]에서 옵티머스 대용량 배터리와 뒷커버를 세트로 판매하고 있다. 용량이 3500mAh라서 기존 시간의 2배 이상 사용할 수 있다. 일단 옵큐2는 옵티머스 블랙과 배터리가 호환되기에 옵블랙 배터리 팩을 구입하면 될 것 같다. 하지만 옵블랙 뒷커버가 옵큐2와 호환될까? 그것만 해결되면 바로 구입할 생각이다.-- 옵큐2와 옵블랙의 뒷커버는 디자인이나 크기가 거의 일치하지만, micro USB와 이어폰 단자 위치가 서로 다르다 ㅠㅠ 굳이 사용하고 싶다면 톱과 사포를 동원해야 할 것이다. 음 조금만 더 기다리면 만들어 줄라나.
- OptimusVu . . . . 1 match
* 돌비 모바일 : 이어폰 + 기본 음악 app에서만 돌비 모바일을 사용할 수 있다. 왠지 모르게 깡통에서 둥둥거리는 느낌이라 사용하지 않는다.
- VX500 . . . . 1 match
#REDIRECT 이어폰
- ViPER4Android . . . . 1 match
[넥서스 5] + [wiki:이어폰#s-2.9 포낙 122] 설정
- XpressMusic N5800 . . . . 1 match
* 이어폰 : MX660
- XpressMusic N5800/사용기 . . . . 1 match
* 음악 재생 : USB를 연결하면 대용량 저장장치로 잡히기에 편리하게 음악을 집어넣을 수 있었다. 다만, 익뮤에서는 음원 파일을 태그로 인식하기에 PC에서 미리 편집해놓는 것이 좋다. 재생화면을 보니 커버 플로우도 띄울 수 있는 것 같다. 번들 이어폰은 봉인하고 젠하이져 [MX660]을 연결해서 음악을 감상해보니 확실히 [mp3p] 수준의 소리를 들려주는 걸 알 수 있었다. 플레이어에서 음악을 벨소리로 지정할 수 있는 것이 마음에 들었다.
- 리디 페이퍼 프로 . . . . 1 match
'''A. 아뇨.''' 이어폰 단자, 스피커, 블루투스가 미포함 되어 있습니다.
- 모디아 . . . . 1 match
1. 모노 이어폰 단자(...)
- 잡담/2015 . . . . 1 match
그리고 언제나 그렇듯, 귀에는 작은 이어폰을 꽂혀있다. 지금 흘러가는 음악은 케이팝 아이돌 명반 중 하나인 F(X) 2집.
- 출장 . . . . 1 match
1. [[mp3p]], [[이어폰]](노캔)
Found 29 matching pages out of 805 total pages
You can also click here to search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