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서 말하는 출장은 대부분 '해외 출장'을 가리킨다. 
1. 주의 사항 ¶
 여권, 여권사본, 비행기 E-ticket은 필수. (미국 방문 시) ESTA 출력본은 없어도 무방하다. 여권, 여권사본, 비행기 E-ticket은 필수. (미국 방문 시) ESTA 출력본은 없어도 무방하다.
 
 
- 출장 중 날씨 예보를 확인한다. 멕시코 같이 일년내내 더울 것 같은 나라라도, 갑작스럽게 기온이 뚝 떨어지기도 한다. 날씨에 맞는 옷을 준비하지 못했다면 상당히 고생할 것이다.
 
 
- 현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것은 가져가지 않는다. (ex: 샴푸, 치약, 슬리퍼 등)
 
 
 비행기 안은 상당히 썰렁하다. 적당히 두터운 바지와 몸에 걸칠 가벼운 겉옷 하나를 준비한다. 못 참겠다면 승무원에게 추가 담요를 요청하자. 비행기 안은 상당히 썰렁하다. 적당히 두터운 바지와 몸에 걸칠 가벼운 겉옷 하나를 준비한다. 못 참겠다면 승무원에게 추가 담요를 요청하자.
 
 
- 이코노미 석에서 가장 편안한 좌석은 비상구[1], 복도쪽 좌석이다. 화장실에 갈 때 다른 사람들 눈치를 안봐도 된다. 비상구 좌석은 비상시에 승무원을 도와줘야 하기에 건강에 문제가 없는 일반인들만 앉을 수 있다. 대신 발을 앞으로 쭉 뻗을 수 있어 한결 편안하다. 좌석이 한정적이므로 모바일 체크인을 이용하거나, 공항에 빨리 도착해야 원하는 자리를 얻을 수 있다. (출발 전 1시간 반~ 2시간 정도)
 
 
- 10시간 이상의 장기 비행인 경우에는  멜라토닌, 목배게를 준비한다. 비행 시간에 맞춰 복용하면 보다 편안하게 잘 수 있으며, 현지에서 시차 적응하는 데 도움이 된다. 참고로 멜라토닌은 보통 인터넷 면세점에서 구입할 수 있으나, 자주 품절된다. 멜라토닌, 목배게를 준비한다. 비행 시간에 맞춰 복용하면 보다 편안하게 잘 수 있으며, 현지에서 시차 적응하는 데 도움이 된다. 참고로 멜라토닌은 보통 인터넷 면세점에서 구입할 수 있으나, 자주 품절된다.
 
 
- 좌석 앞 스크린에서 한글자막 영화/드라마/쇼프로를 감상할 수 있다. 한국 국적기가 아니더라도 한글 자막이 지원되는 경우가 있으니, 미리 정보를 찾아보자.
 
 
- 자신이 좋아하는 컵라면, 소량의 인스턴트 커피를 준비한다. 현지에서 요청한 것이 아니라면 커피를 바리바리 싸 들고갈 필요는 없다. 한국인이 사는 곳에는 필연적으로 한인마트가 있기 마련. 
 
 
 환전은 필수. 현지 CD기에서 현금을 뽑을 수는 있지만, 수수료가 만만찮다. 현지에 한국 직원이 있을 경우에는 그나마 낮은 수수료로 환전이 가능하다. 환전은 필수. 현지 CD기에서 현금을 뽑을 수는 있지만, 수수료가 만만찮다. 현지에 한국 직원이 있을 경우에는 그나마 낮은 수수료로 환전이 가능하다.
 
 
- 현지 세관 규정을 잘 살핀다. 규정에 따라 물건을 압수당하거나, 세금을 물어야 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멕시코는 동일한 전자기기를 2대 이상 소지하다 걸리면 세금을 내야한다. (노트북 1대, 카메라 1대, 게임기 1대 정도만 소지 가능)
 
 
- 출장지에 따라 어댑터 변환기를 미리 준비한다. 비싼 여행용 만능 멀티탭보다, 철물점, 다이소 등에서 흔히 구할수 있는 어댑터가 부피도 작고 좋다. 거기에 작은 멀티탭(3~4구) 하나만 더 챙기면 안성맞춤.
 
 
- 스마트폰 분실, 파손을 대비하여, 여분의 폰을 준비한다. 
 
 
- 출장지에 있는 흡연자를 위해 면세 담배를 구입하자. 좋은 선물이 된다.
 
 
2. 준비물 ¶
- 여권, 여권 사본
 
- 스마트폰, 충전기, USB 케이블
 
- 업무용 노트북, 마우스, 어댑터 변환기, 멀티탭
 
- 현지 통화
 
 
- 캐리어, 가방
 
- 목배게: 10시간이 넘는 장거리 비행에서 이게 없으면 너무 고달프다.
 
 
- 비상약
 - 지사제, 소화제, 타이레놀, 수면제
 
- 일회용 밴드
 
- 매실 농축액
 
 
 
- 지사제, 소화제, 타이레놀, 수면제
- 세면도구, 화장품
 - 칫솔, 치약(소형), 치실
 
- 세면솔
 
- 스킨 로션, 썬크림
 
- 손톱깎이
 
 
 
- 칫솔, 치약(소형), 치실
- 의복류 
 - 겉옷 
 
- 티셔츠, 바지 
 
- 속옷, 양말 
 
 
 
- 겉옷 
- 여가활동 
 
3. 여가활동 ¶
빠듯한 출장 기간 동안 제대로 된 여가활동을 즐기는 것은 매우 어렵다. 아침부터 저녁까지 시차 적응에 괴로워하며 업무를 처리해야 하며, 가까스로 퇴근하려고 하면 현지 직원들이 음주를 권유한다. 결국 평일에는 숙소 -> 회사 -> 음주 -> 숙박의 무한반복이 된다.
그러나 1달 이상의 장기 출장의 경우에는 좀 낫다. 시간 안배를 잘하면 주말에는 혼자만의 시간을 보내거나, 주변 관광지로 나들이를 다닐 수 있다. 현지직원, 현지인과 친분을 쌓아놓는다면, 더욱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 있다.
----
- [1] 다만 화장실 냄새가 날 수 있으며, 사람들이 자주 왕래하기에 불편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