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r 06, 2015 ¶
감성에 촉촉하게 내리는 비처럼...
¶
Submitted by 파초 @ 03-06 [09:51 am]
작년에 즐겨보다 만
스튜디오 짭쪼롬을 폭풍같이 몰아쳐서 감상.
아으으으으으으으으으.
이런 달달하고 짭쪼롬한 전개를 보고 있자니 아으 막 흐뭇하다. 커플 브레이킹을 남발하는 누구와 다른 전개+마음 속에 스며드는 알콩달콩한 작화가 내 마음을 막 녹여준다. 꽁꽁 얼어붙은 땅을 비가 촉촉하게 적셔주는 느낌이랄까.
그나저나
허니와 클로버를 좋아하는 것도 그렇고..난 겉보기완 다르게 소녀감성일지도????!
}}}


}}}
Mar 02, 2015 ¶
좋은 말벗
¶
Submitted by 파초 @ 03-02 [07:13 pm]
사람은 사회적 동물이다.
'언어'와 '문자'라는 적극적인 의사소통 수단을 통해 자신의 생각을 전달하는 유일무이한 존재이다.[1] 고등한 지능을 가진 돌고래, 유인원 등이 서로에게 신호를 보내지만, 인간의 것처럼 복잡성/다양성을 띄지 않는다. 그리고 결정적으로 그들에게는 '문자'가 없다.
사람은 다양한 방법으로 타인과 생각을 주고 받는다.
시각/청각으로 교감할 수 있는 마주보는 대화, 아련함이 깃들어 있는 편지, 생동감이 실려있는 전화 통화, 빠르고 정확하게 주고받을 수 있는 문자, 손을 이용한 수화, 입술 모양을 읽는 독순술, 텔레파시, 몸짓언어인 바디랭귀지 등 다양한 방법을 이용한다.
여기서 드는 의문 2가지.
Q1. 진정으로 자신과 말이 잘 통하고, 속사정까지 거리낌없이 털어놓을 수 있는 말벗은 과연 몇이나 될까?
Q2. 그런 말벗이 많을수록 더 행복해질 수 있을까?
1번에 대한 나의 답변은 4명 (가족제외).
2번 질문의 대한 답변은 '아직 잘 모르겠다'. 한 10~2년 정도 더 살면 답이 나올까?
----
M도...언젠간 그런 말벗에 포함될수있기를...
Q2. 그런 말벗이 많을수록 더 행복해질 수 있을까?
2번 질문의 대한 답변은 '아직 잘 모르겠다'. 한 10~2년 정도 더 살면 답이 나올까?
----
M도...언젠간 그런 말벗에 포함될수있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