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g 16, 2015 ¶
점점 페블타임에 익숙해지고 있다.
¶
Submitted by 파초 @ 08-16 [09:18 am]

- 수면 패턴 분석, 알람: 이건 복불복이 강하다. 잘 때마다 해당 App을 켜놓고, 잔다는 얘기를 해야 그제서야 제 할일을 한다. 특정 시간대에 자동으로 시작하는 옵션이 있는지 확인해 봐야겠다.
- 알람: 페블 기본 알람. 손목에서 울리는 진동이 은근히 유용하다.
- 전화, 문자 알림: 왠만해서는 걸려오는 전화나 문자를 놓치지 않는다.
카카오톡은 쓸데없는 메시지가 많아서 알림을 꺼놨다.
- 일정, 날씨 확인: 오른쪽 아래/위 버튼을 누르면 정보를 볼 수 있다. 스맛폰에서 일정을 등록하면 페블에 바로 뜬다. 덕분에 폰을 만지작 거리는 시간이 줄었다.
- 시간관리 기법: 일하고 쉬는 시간 알림. 뽀모도로 테크닉을 적용한 Slowly라는 app을 선물받았는데, 사용하기 어렵다. 메뉴얼 정독해야 할 듯.
- 수영 기록 측정: 이건 내가 수영을 가야 할 수 있음.
- 컴파스: 지도와 컴파스만 있으면 길을 찾을 수 있다. 근데 스맛폰 지도가 더 유용하니, 과연 이 기능을 쓸 기회가 있을까??
Aug 15, 2015 ¶
Aug 12, 2015 ¶
Submitted by 파초 @ 08-12 [11:10 am]
밀착성이 좋고 부들부들한 기본 시계줄을 나토밴드(Black, Gray 줄무늬)로 바꿨다. 아직 어색하지만, 착용감이나 디자인은 만족스럽다. 교환이 편리하니, 다른 디자인의 나토밴드를 구비하는 것도 좋을 것 같다.
그리고 액정보호지 부착. 처음은 부착 실패로 폐기, 2번째는 기포가 잔뜩 들어간 상태로 간신이 붙였다. 다행히 하루가 지나니 기포가 사라졌다. 그냥 쌩으로 노출된 베젤이 거슬리지만...이건 나중에 시트지를 부착해야겠다.
Aug 11, 2015 ¶
Submitted by 파초 @ 08-11 [10:43 am]
Jul 31, 2015 ¶
야근과 음악
¶
Submitted by 파초 @ 07-31 [02:01 am]
휴가를 이틀 앞두고 프로젝트 중간 정산을 위해, 온몸이 뻐근해지는 야근에 돌입했다.
모니터를 응시하고 있는 눈은 쉴새없이 깜박이고, 양손은 키보드와 마우스 사이를 현란하게 춤추듯 움직이고 있다.
때때로 심심한 입을 위해 커피와 크래커를 옮기기도 한다.
그리고 언제나 그렇듯, 귀에는 작은 이어폰을 꽂혀있다. 지금 흘러가는 음악은 케이팝 아이돌 명반 중 하나인 F(X) 2집.
SES 베스트 앨범처럼 언제 들어도 물리지 않는다.
때때로 심심한 입을 위해 커피와 크래커를 옮기기도 한다.
SES 베스트 앨범처럼 언제 들어도 물리지 않는다.
Jun 17, 2015 ¶
비밀번호 관리?
¶
Submitted by 파초 @ 06-17 [08:20 am]
비밀번호를 똑똑하게 관리하는 8가지 방법
Lastpass에서 관리 중인 암호화된 데이터 일부가 해킹으로 유출되었다는 소식을 들었다. 운영측에서는 10만회 이상 암호화되어 당장 어떻게 써먹을 수 없다고 자신만만해 하지만, 사용자 입장에서는 불안한 건 사실.
온라인 방식 대신, PC나 모바일 기기에 데이터를 암호화해서 저장하는 1password로 옮겨가야 할까? 비싼 S/W 가격이 맘에 걸리지만, 더 안전할 것 같다. 고민고민.

Jun 12, 2015 ¶
Jun 08, 2015 ¶
Jun 02, 2015 ¶
May 27, 2015 ¶
가슴 두근거림
¶
Submitted by 파초 @ 05-27 [01:20 pm]
부쩍 가슴 두근거림을 자주 느낀다. 보통 카페인을 과다복용할 때 종종 이런 반응을 겪는다.
그렇지만 지난 밤과 오늘 아침에는 건강검진 때문에 물 이외에는 먹은 게 없다. 건강검진 이후에는 간단한 간식과 물(레몬 가루 섞어서)을 복용한 것이 전부. 참고로 건강검진 때 측정한 맥박은 분당 132로 살짝 높은 수준이지만 정상이라는 판정을 받았다.
정보를 찾아보니
부정맥이라는 단어가 눈에 띈다. 일단 조금 더 지켜보자.

May 24, 2015 ¶
외국인에게 반응 좋은 한식. 김치볶음밥??
¶
Submitted by 파초 @ 05-24 [09:07 am]
그나마 좋아하는 건 갈비류의 달착지근하고 부드러운 육류 위주.
차라리 정부는 김치볶음밥을 고급스럽게 만들어서 한류라고 밀어붙이는 게 나을 것 같다.
세계적인 열풍을 만들어 낼 수도 있지 않을까?
Apr 16, 2015 ¶
기술의 발전 (2)
¶
Submitted by 파초 @ 04-16 [04:48 pm]
그래픽 성능을 체감하기 위해서 실제 게임을 실행해봤다.
...기존 노트북에서는 최소사양으로도 버벅임이 느껴졌던 모 게임이, 조립 PC에서는 비교적 쌩쌩히 돌아간다?!
외장 그래픽의 부재를 새로운 부품들 (CPU, Ram, SSD)가 뒷받침한다는 얘기. 내장 그래픽으로도 이 정도인데, 수준급 외장 글픽을 달면 대체 어떤 화면을 볼 수 있을까?
Apr 15, 2015 ¶
빠른 기술 발전
¶
Submitted by 파초 @ 04-15 [10:22 am]
5년된 구형 노트북을 대신할, 데스크탑 영입.
노트북 Spec
i5 (2세대) + 8GB Ram + 256 SSD + 외장 그래픽 GTX550M + 15.6인치 모니터 (FHD)
데스크탑 Spec
i5 (4세대) + 16GB Ram + 512 SSD + CPU 내장그래픽 4600 + 23인치 모니터 (FHD)
그래픽카드를 구입하기 전에, 성능 비교를 해봤다. ....결과는 어마무시.
4600보다 GTX550M 성능이 17% 좋다는 결과가 나왔다.
인텔 CPU 안에 내장된 그래픽이 생각보다 좋으며, GTX550M은 이제 구시대의 유물이 되었다는 얘기.
그래도 GTX55는 구입당시 게이밍 노트북이었는데, 이렇게 퇴물이 되어버리다니 기분이 묘하다.
i5 (2세대) + 8GB Ram + 256 SSD + 외장 그래픽 GTX550M + 15.6인치 모니터 (FHD)
i5 (4세대) + 16GB Ram + 512 SSD + CPU 내장그래픽 4600 + 23인치 모니터 (FHD)

인텔 CPU 안에 내장된 그래픽이 생각보다 좋으며, GTX550M은 이제 구시대의 유물이 되었다는 얘기.
Mar 31, 2015 ¶
공간의 여유.
¶
Submitted by 파초 @ 03-31 [03:06 pm]
창의력 높이려면 지붕 뚫어? 브레인 Vol. 22
비어있어야 채울 수 있다는 말, 동양화에서 내세우는 여백의 미, 그리고 기사글의 공통점은 바로 "공간의 여유". 효율성을 위해 조금이라도 비어있는 공간을 꽉꽉 채우는 것이 좋지만, 최소한 삶의 공간만큼은 여유를 두는 게 어떨까.
지금은 좁은 기숙사에서 아둥바둥 살고 있지만, 나만의 보금자리를 갖게 된다면...가진 건 없어도 여유있는 공간은 누리고 살고 싶다. 단, 가장 큰 걸림돌인 "소유욕", "공간 확보를 위한 충분한 돈"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Mar 12, 2015 ¶
Mar 11, 2015 ¶
Mar 06, 2015 ¶
Mar 02, 2015 ¶
좋은 말벗
¶
Submitted by 파초 @ 03-02 [07:13 pm]
사람은 사회적 동물이다.
'언어'와 '문자'라는 적극적인 의사소통 수단을 통해 자신의 생각을 전달하는 유일무이한 존재이다.[3] 고등한 지능을 가진 돌고래, 유인원 등이 서로에게 신호를 보내지만, 인간의 것처럼 복잡성/다양성을 띄지 않는다. 그리고 결정적으로 그들에게는 '문자'가 없다.
사람은 다양한 방법으로 타인과 생각을 주고 받는다.
시각/청각으로 교감할 수 있는 마주보는 대화, 아련함이 깃들어 있는 편지, 생동감이 실려있는 전화 통화, 빠르고 정확하게 주고받을 수 있는 문자, 손을 이용한 수화, 입술 모양을 읽는 독순술, 텔레파시, 몸짓언어인 바디랭귀지 등 다양한 방법을 이용한다.
여기서 드는 의문 2가지.
Q1. 진정으로 자신과 말이 잘 통하고, 속사정까지 거리낌없이 털어놓을 수 있는 말벗은 과연 몇이나 될까?
Q2. 그런 말벗이 많을수록 더 행복해질 수 있을까?
1번에 대한 나의 답변은 4명 (가족제외).
2번 질문의 대한 답변은 '아직 잘 모르겠다'. 한 10~2년 정도 더 살면 답이 나올까?
----
M도...언젠간 그런 말벗에 포함될수있기를...
Q2. 그런 말벗이 많을수록 더 행복해질 수 있을까?
2번 질문의 대한 답변은 '아직 잘 모르겠다'. 한 10~2년 정도 더 살면 답이 나올까?
----
M도...언젠간 그런 말벗에 포함될수있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