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smk:저자동고유연성 내용 백업
----

자동성이 낮고 유연성이 높은 시스템에서는 참여 객체들이 똑똑해질 여지가 많다.
시스템 전체의 진화를 촉발하는 것이다 (이 진화의 전제 조건은 객체 각각의 자율성(autonomy)과 상호소통(intercommunication)의 자유로움의 보장이다). 또한 자신들만의 문화를 형성하고 공유할 수 있게된다. 자동성이 높고 유연성이 낮은 시스템은 어떤 새로운 창발도 가져오지 못하며, 낮은 유연성으로 조만간 도태되고 폐기되어진다. 자동성이 높다는 허울아래 器的 성질이 강한, 즉 어느 한쪽으로의 쓰임을 강요하는 하이테크 제품일 수록 그 생명주기가 짧을 수 있다. 자동성이 높고 유연성도 높은 시스템은 일단 한방에 존재하는 경우가 극히 드물뿐더러, 그 시스템에는 새로움에 대한 모티베이션이 부재한다. 자동성과 유연성 모두 낮은 시스템은 고정화되고 이미 죽은 시스템이다.

일반적으로 시스템의 변화 주기는 다음의 단계를 거친다.


>
>             fffffff  aaaaaaa
>           f        af        a
>         f        a   f        aa
>        f        a     f         a
>-------ff-------a--------f--------a---------
>a     f        a          f        a
> a  ff        a            f        a  f
>   fa      aa                f       fa
>ff   aaaaaa                    ffffff   aaaaa
>       자동성                  유연성
>
>유연성은 자동성 비해 1/4 위상(phase) 앞서 간다
시스템의 지속과 발전, 진화의 문제는 결국, 어떻게 하면 이 싸이클을 끊임없이 부드럽게, 면면히 이어지도록(참여 객체들이 멸종하지/전체이주/해산 하지 않도록) 할 수 있을 것인가와, 어떻게 하면 다음번의 싸이클(한바퀴 돌고난 후)에서는 이전보다 좀 더 수준 높은 차원의 자동성과 유연성을 획득할 수 있을까, 또, 이 획득된 문화와 패턴을 다음 싸이클까지 축적하고 전달할 수 있을까(참여 객체들이 물리적으로 계속 남아있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하는 것이 핵심이다.

--김창준
----
위키위키는 저 자동 고 유연성의 속성을 가지고 있다.
----
<질문1> 위의 그래프는 순수가정인 이론적이기만 한 것인지 아니면 실제 측정과 경험적 자료에 바탕을 둔 것인지, 만일 후자라면 자동성과 유연성의 측정(measures)은 어떻게 이루어진 것인지가 궁금해서요. --우산


-----
>                   [자동성]
>
>                      hi
>                       I
>                       I
>                       I
>                       I       (3) 유저 + p-editor
>            (4) 대중적워드
>                       I
>lo---------------------I---------------------hi [유연성]
>                       I
>                       I       (2) 프로그래머블 에디터
>             (1) 라인에디터
>                       I
>                       I
>                       I
>                      lo

[우산]이 <질문2>와 함께 그린 그래프. (후에 [김창준]이 약간 수정하고 아래 설명 덧붙임)
이 그래프에서 각각 (1),(2),(3),(4)는 특정 위치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고 원점을 중심으로 원을 상정했을 때 해당 부근의 일정 곡선을 점유합니다. 그리고, 여기서 (1)번은 죽음이자 동시에 탄생의 공간입니다. 그리고 원점을 중심으로 lo, hi의 구분은 잠재적potential 구간과, 실재적actual 구간의 구분으로 볼 수 있습니다. 유연성이 lo인 영역에서는 유연성이 잠재적으로 그 가능성이 내재해 있는 것이고, 실재적 구간에서는 외부로 그 유연성이 드러나는 겁니다. 자동성도 마찬가지가 됩니다.

아주 재미있는 논리네요.. ^^;
개인적으로는 이전에 오라클과 MSSQL을 보면서 비슷한 생각을 한적이 있습니다.
bleujin

<질문2> 여러가지 연관은 안되지만 소소한 궁금증들... 이 원이 시계반대방향으로 돈다는 말씀이지요? 네. 하지만 번호에 따라 시간순서적으로chronologically 꼬리를 무는 방식으로 변화발전해가는 거지요? 네. 위키위키는 여기서 프로그래머블 에디터에 해당하는 시스템인가요? 네. 만일 앞의 질문에 다 예스라면 마지막으로 덧붙여 궁금한 건 이 기술들이 실질적으로 발명 내지는 진화해온 순서도 역시 이런 가요? 일반적으로 그러합니다. 다시 말해서 프로그래머블 에디터가 대중적인 워드보다 먼저 나온 것인가 말입니다. 네. 만일 저자동고유연한 시스템이 훌륭하다면 왜 그것이 도태되고 또 다른 것으로 이동하게 되는 거지요? 말하자면 저자동고유연 시스템에서 극복되어야하는 것으로 잠재돼있는 문제는 무엇이 될까요?
참 그리고 또하나. 저는 일단 네 가지 유형들의 성격과 특성이 궁금해서 2 X 2 typology를 만들어본건데 각 유형들의 세로높이는 일부러 차이를 두신 건가요? 즉 같은 고자동성 내, 그리고 같은 저자동성 내에서도 그 자동성의 정도에 차별화를 두기 위해서? --우산

-----

감상

상당히 재미있는 내용인데... 제가 제대로 이해한 것인지 궁금합니다.

  • 저자동저유연 : 어셈블리어
  • 저자동고유연 : C
  • 고자동고유연 : Python
  • 고자동저유연 : 문법규칙이 복잡해진 Python (가정)

이런 건 어떻습니까? 뒤집어 놓으면 더 보기 편할 것 같네요.

  • 고자동저유연 : 윈도우
  • 고자동고유연 : 리눅스(?)
  • 저자동고유연 : 유닉스
  • 저자동저유연 : 도스

밑의 예라면... 유연성의 차원에서 움직이는 축과 자동성의 차원에서 움직이는 축을 따로 생각할 수는 없을까요?
(좀... 특정 이론에 끼워 맞추려는 의도가 없지는 않아 보이는군요. ^^)

다시 읽어 보니 좀 얘기가 이상하게 들릴 수도 있을 것 같은데... 서로 다른 축으로 움직일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얘기는 제가 사상의학 이론과 끼워 맞춰 볼까하고 한 얘기입니다. 그리고... 이런 내용에 대해서 참고할 만한 서적이 있으면 추천 좀 부탁드려도 될까요. --지상은

고자동저유연에 복잡해진 파이썬 대신 비주얼 베이직은 어떨까요? - Haskell
비주얼베이직에 한표!! -- 김현승
----
일단, 자동성은 한가지 작업(task)이 주었졌을 때 이 작업을 수행해 내기 위해 밟아 나가야할 개념적 단계(Conceptual Steps, 물리적 단계가 아니고)의 숫자에 반비례한다고 보고, 유연성은 그 작업을 완수하기 위해 거칠 수 있는 유의미한 과정의 "경우의 수"에 비례한다고 보면 이해하기 쉬울지 모르겠습니다. 물론 한가지 척도에 불과합니다. (컴퓨터 언어에서는 유연성을 직교성(orthogonality)과 비슷하게 보아도 될 것 같습니다.)

참고할만한 서적은 아쉽게도 별로 없습니다. 이런 식으로 자동성과 유연성을 대비한 건 별로 보지 못했습니다. 컴퓨터 언어 분야에서 언어의 직교성에 대한 논문들이나 시스템 공학 쪽에서 좀 관련있는 내용을 있을런지 잘 모르겠군요. --김창준
----
시스템의 변화주기가 인간이 태어나서 죽을때까지 모습과 흡사하다는 생각이 드는군요. 유년기 - 청년기 - 장년기 - 노년기. 인류문명의 발달사도 비슷하다는 느낌. 지금은 고자동고유연(長)의 시대? ....나선형 이미지가 머리속에 떠오릅니다. 전진호
----
어떻게 하면 다음번의 싸이클(한바퀴 돌고난 후)에서는 이전보다 좀 더 수준 높은 차원의 자동성과 유연성을 획득할 수 있을까,이부분의 이해를 잘 못한것인가요..?? 저한테 이 자동/유연 그래프는 싸이클을 이루기는 힘들어보이네요:) 이부분에 대한 설명을 쉬운말로 해주실수 없을까요? 참 신기한 사실을 발견하신것 같아요.. 그런데 고자동/저유연 이후의 부분은 어떻게 되어서 싸이클을 이루는것인지에 대한 견해를 듣고싶습니다.한차원 높은 자동성과 유연성이라는 것이 예로 들어주신 문서편집기의 경우에는 어떤것이 될런지.. 혹시 한 시스템에서 이 싸이클은 한번만 도는것은 아닐까요..?? --김정욱
----
"자동성", "유연성" 축에 "효율성(비용)"이란 축을 하나 더 붙여서 3차원으로 만들면...머리가 더 아프겠죠??? ^^; -- 나를잊어줘
----
고자동이고 저유연성에서는 기능이 한계가있고 전문가에게는 오히려 불편한 시스템이기 때문에 전문가들의 필요에 따라 저자동저유연성으로 간다고하는 부분에서 고자동저유연에서 저자동저유연의 상태로 간다는 부분을 이해하기 힘듭니다. 과거의 경험을 바탕으로 저자동고유연이나 고자동고유연상태로 넘어가지 않을까요? 꼭 저자동저유연상태로 넘어가지 않을꺼 같습니다. --으하

이를테면 사용자의 의도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는 에이전트(MS 오피스의 도우미)가 있습니다. 사사건건 작업에 불편을 가져오는 이 에이전트는 고자동 저유연성 상태입니다. 문서를 작성하다 드디어는 화가 나서 에이전트를 아예 꺼버리겠죠. 저자동 저유연성 상태입니다. 자동성의 증가로 손실되는 부분은 이만저만이 아니기 때문에, 같은 저유연성이라도 전문가는 고자동보다 저자동을 추구하게 되는 것이 아닌가 합니다. 다만 이 저자동 저유연성 상태가 매우 짧을 수는 있겠지요. --DaNew

see also ViEditor
----
현재 대부분의 사람이 쓰는 한글 자판은 자음과 모음만 있다. 입력한 자음이 첫소리인지 끝소리인지는 다음에 모음이 오느냐 아니냐에 따라 자동으로 결정한다. 그런데 이 시스템으로는 옛한글 처리가 불가능하다. 고자동저유연성. 반면 세벌식을 사용하면 옛한글 처리가 가능하다. 저자동고유연성 --세벌

DeleteMe 옛한글이라면 현행 두벌식이나 세벌식 모두 뜯어 고쳐야 합니다. 옛한글에 대한 세벌방식은 김경석 교수의 자판이 이미 제안되었으며, 기계화 하기도 쉽습니다. 그러나 두벌식을 기계화하면 컴퓨터에서 작동하는 작동방식과는 전혀 다르게 되죠. --고무신
----
무의식적 저속반응 -> 의식적 저속반응 -> 의식적 고속반응 -> 무의식적 고속반응. 이것은 사람이 무술에서 기술을 습득해 나가는 과정입니다. 무의식,의식을 저유연,고유연에 대입하고 저속,고속을 저효율, 고효율에 대입을 해보세요. 고효율저유연을 다시 보게 되네요. --김현승
뭔가 다른 감도 오고 재미 있습니다.--howlog
----
See also 공짜기능 위키위키 누구를위한기술인가
----
위키위키분류 과학기술분류
Retrieved from http://memorecycle.com/w/위키위키/저자동고유연성
last modified 2016-03-04 23:1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