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shList/end . . . . 43 matches
플래시 / 고속동조 / 선막동조 / 후막동조 / E-TTL,E-TTLII / 상하좌우바운스 / 재충전:1.5초 / 전원:리튬이온배터리 / 무게:420g / 원형헤드 / 광량:76Ws / 색온도:5600±200K / 무선제어 / 4그룹, 32채널 / 통신범위:100m / 배터리전압:7.2V / 배터리용량:2600mAh / 발광횟수:약480회 / 슬립모드변경 / 크기:7.6x9.3x19.7cm
=== 파나소닉 G9 호환 배터리 ===
G9 호환 배터리를 알리익스프레스에서 주문했다. 가격은 US $19.77 / 구성은 2300mAh 배터리 2개, 2구 충전기 1개.
보통 호환배터리는 정품용량의 70%정도라고 하던데,
S5와 동시출시되는 신형 배터리 (2300mAh)를 지를 생각이었지만,
기존 정품배터리 2개는 백업으로 돌리고,
호환배터리를 주력으로 사용해야겠다.
정말 만족스러운 폰. [[픽셀]]3보다 더 낫다. 배터리 오래가고, 색상 이쁘고, 폰이 과열되는 일도 적다. 사진은 픽셀 보다 뒤떨어지지만, 보통 이상 수준이다.
* 31,500mAh (보조배터리로 사용가능, output 5V 2A)
픽셀1은 배터리도 광속으로 사라지고, 느릿느릿해서 답답하다.
[[Date(2019-05-21T06:57:14)]] 후면 배터리 커버 / 엄지그립 부분의 고무가 벗겨질 기미가 보인다. 알리에서 구입한 2만원짜리 고무커버를 씌워놓으니 좀 낫다. 고무커버가 찢어질 때까지 사용하다가...고무커버를 교체하거나 / 바디를 중고로 처분해야겠다.
* 8월에는 삼각대, 배터리 사은품을 받을 수 있다. 일부 오픈마켓에서는 배터리는 제외되었으니 주의바람.
* [http://with.gsshop.com/prd/prd.gs?prdid=10954565&vodFlag=N&utm_source=price&utm_medium=affiliate&utm_campaign=naver DMW-BLF19 정품 배터리] 1~2개 추가 구입필요. (나중에)
* 기본 구성품: GF9 본체, 12-32 렌즈, 배터리, 넥스트랩, 충전어댑터, USB 케이블
1. 배터리, 속사 케이스 (가죽, 블랙), Micro SD 16GB
--가벼운 여행을 위한 필수품. 얇고 부피 작은 슬링백은 앞으로 메고, 미러리스는 별도 스트랩을 이용해서 어깨에 걸친다. 미러리스를 가방에 넣으면 안전하지만 꺼내기가 번잡스럽다. 슬링백 안에는 여권, 지갑, 미러리스 추가 배터리, 스마트폰, 볼펜, 프린트물 (각종 예약)을 넣을 생각이다. 구입을 고려하고 있는 제품은 "캉골 슬링백", "내셔널 지오그래픽 슬링백"이다.--
보다 간편한 여행을 위해 '''미러리스 스트랩 + 파우치'''를 이용하기로 마음먹었다. 기존에 구입한 [http://joby.com/camera-straps/ultrafit-sling-strap Joby UltraFit Sling Strap]으로 미러리스를 몸에 밀착해서 휴대하고, 스트랩 고리에는 작은 파우치를 달아놓는 것이다. 파우치 안에는 현금, 카드, 여권 or 여권 사본, 프린트물&볼펜, 미러리스 추가 배터리, [[스마트폰]], 비닐봉지를 넣는다. 갑자기 비가 오더라도 올림푸스 미러리스 E-M1 + 12-100렌즈는 방진방적 Spec이니 물에 좀 젖어도 문제없다. 파우치는 비닐봉지로 감싸면 OK.
[[Date(2019-05-21T06:57:14)]] 지갑, 여권, 스마트폰, 미러리스 추가배터리를 넣으면 딱이다. 다음에 여행갈 때에도 애용할 것이다.
* --정품등록 사은품 이벤트: 6/12~7/30. 보조 배터리 CP-V3B (3400mAh, 1.5만원)--
* 배터리 용량 증가 (7 → 10일)
- OptimusQ2 . . . . 25 matches
1. 역시 LG U+의 악명은 옵큐2에서도 재현되었습니다. 제가 있는 지역이 지방인데다가 직업 특성상 LG U+ 사용자가 몰려있어서, 망 속도가 굉장히 느립니다. 카카오톡 하나 다운받는데 답답해 미치는 줄 알았습니다; 그래도 다행인 것은 wifi를 굉장히 잘 잡고, 속도도 빠릅니다. ….물론 배터리도 광속으로 빠져 나갑니다;
1. LG U+ : 타 통신사와 3G 네트웍 방식이 다르기에 (리비전 B 사용) 배터리 소모가 빠르다. 그리고 유심이 없어 타 통신사로 이동할 수 없다.
1. 배터리 용량 1500mAh : 두께를 늘려서라도 배터리를 최소 1800mAh는 만들어야 하지 않았을까. 배터리 소모가 너무 빠르다. 음, 누가 대용량 배터리와 케이스 세트 안 만들어 주나 ㅜㅜ
1. --배터리 커버 벗기기가 힘들다. 옵티머스 빅이나 갤럭시 유에도 이 방식이 쓰인 것 같은데, 다른 사람들은 불만 없나? 왜 안바뀌는 거야;-- 이것도 벗기다 보니 적응된다.
1. 배터리를 거치대에 얹고 충전하다가 녹색 불이 들어왔을 때 바로 옵큐2에 연결해 봤다. 92%라고 표기되는 걸 보니, 녹색 불이 들어오더라도 1시간 정도는 더 둬야 할 것 같다.
1. --충전 어댑터만 문제인 줄 알았더니, 배터리 거치대도 말썽이다. 녹색불이 뜨자마다 배터리를 교체해보니 겨우 90%만 충전되어 있었다. 혹시나 해서 전원을 빼놓았다가 다시 연결해서 녹색불이 뜰 때까지 충전을 해봤다. 이번에는 93%더라 -_-. 앞의 과정을 3~5회 반복해도 최대 충전량은 여전히 93%로 표시된다. [["hTC 레전드"]] 충전기도 100% 완충시켜 주는 데 LG는 대체 뭐가 문제냐~ 최소한 95~98%는 충전해 줘야지!-- 루팅 후 배터리 캘리브레이션을 해주니 좀 나아졌다.
1. 얼마 전 LG에서 삼성 스마트폰은 발열이 너무 심해서 계란 후라이를 해먹을 수 있고, 우리 껀 발열도 적고 전력 소모가 훨 작으니 우리 스마트폰 좋다고 발표를 한 적이 있다. 마케팅 자체는 좀 그렇지만, 공학적인 측면에서 바라보면 어느정도 수긍이 간다. 스마트폰에서 사용하는 리튬 이온 배터리는 열을 많이 받으면 배터리 효율이 떨어질 수 있으며, 90도 이상의 열에 노출될 경우 단락,폭발할 수도 있다. 확실히 옵큐2는 화면에서 발열이 거의 느껴지지 않는다. 이전까지 사용했던 [["hTC 레전드"]]는 AMOLED 디스플레이를 사용해서 갖고 놀다보면 발열이 장난 아니었다.
1. 위젯을 모두 없애버렸더니 배터리가 조금 더 오래 지속된다. 위젯을 많이 사용했을 때는 화면을 꺼놨다가 10~20분 뒤에 켜면 1~2%는 게이지가 하락했는데, 지금은 그 수치를 계속 유지한다. 그래서 [[아이폰]]이 위젯 기능을 iOS에 안 넣는 건가?
1. LG에서 자체적으로 만든 홈 런쳐의 완성도가 생각 외로 높다. 자체 위젯 디자인도 멋있다. 하지만 위젯을 사용하면 배터리가 광속으로 사라지는 게 문제. 그래서 espier launcher로 갈아탔다.
1. 2011.11월 말 펌웨어 업그레이드를 하니 불안하던 부분이 많이 개선된 것을 느낄 수 있었다. 슬립데스도 없고, 배터리도 조금 더 오래가는 듯?
1. 배터리 뒷 커버가 유광이라 기름기가 잘 묻는다. 그렇다고 뒷면에 비싼 전용 시트지를 붙이긴 돈 아까우니, 그냥 막 굴리다가 뒷 커버만 5천원에 구입해서 교체하는 편이 낫다. 기름기가 많이 묻는 게 싫다면 카본 시트지 하나 잘라 붙이자. 노트북 상판에 2번 붙일 넓이의 시트지를 3~4천원에 구입할 수 있다.
* battery Calibration : 루팅 필수. 배터리 용량 캘리브레이션 용.
* SetCPU : CPU 오버클럭 앱. 다운클럭해서 배터리를 절약할 수도 있다. 루팅 필수.
배터리가 좀 더 오래가려나?
=== 배터리 효율 향상 ===
=== 대용량 배터리 ===
--[http://www.ebay.com/sch/i.html?_nkw=lg+optimus+extended+battery 이베이]에서 옵티머스 대용량 배터리와 뒷커버를 세트로 판매하고 있다. 용량이 3500mAh라서 기존 시간의 2배 이상 사용할 수 있다. 일단 옵큐2는 옵티머스 블랙과 배터리가 호환되기에 옵블랙 배터리 팩을 구입하면 될 것 같다. 하지만 옵블랙 뒷커버가 옵큐2와 호환될까? 그것만 해결되면 바로 구입할 생각이다.-- 옵큐2와 옵블랙의 뒷커버는 디자인이나 크기가 거의 일치하지만, micro USB와 이어폰 단자 위치가 서로 다르다 ㅠㅠ 굳이 사용하고 싶다면 톱과 사포를 동원해야 할 것이다. 음 조금만 더 기다리면 만들어 줄라나.
- 보조 배터리 . . . . 24 matches
다른 휴대 기기를 충전할 수 있는 휴대용 배터리.
=== 샤오미 보조 배터리 ===
--국내 현존, 최고의 가격대 성능비를 자랑하는 DIY 배터리.-- [[네이버]] 카페에서 공동구매 형식으로 구입이 가능하다. 2013년 5월에는 [http://shop.naver.com/libaeda/products/140995492 네이버 샵N]에서도 구입할 수 있다.
2015년부터는 뛰어난 가성비와 세련된 디자인의 샤오미 배터리에 완전히 밀렸다. 리배다 제품이 수명은 더 길다고는 하지만, 샤오미 배터리를 1년마다 바꿔주는 게 더 싸게 먹힌다. USB Type-C를 지원하는 고성능 제품이 개발되지 않는 이상 자연도태될 것 같다.
[[펀샵]]에서 공동구매로 구입한 보조 배터리. 11000mAh라는 무지막지한 용량을 자랑하고 있다. 그렇지만 출력이 5V/1A이라 2A가 필요한 [[아이패드]], [[갤럭시탭]]등의 패드류를 제대로 충전할 수 없다. 충전이 안되는 건 아니지만 속도가 무지 느리다고 한다.
[넥서스 5]의 케이스에 내장된 보조 배터리. 따로 빼내어 휴대할 수 있다. 1번 정도는 충번할 수 있어서, 짐이 적을 때 챙긴다. 배터리 케이스는 너무 두꺼우며, 한번 떨어뜨렸더니 하단부가 파손되었다. 보조배터리는 종종 사용했으나, 충전 효율이 별로라서 반년 뒤 폐기했다.
=== 소니 보조 배터리 5000mAh ===
300회 충방전을 해도 배터리 용량이 95% 수준을 유지하는 배터리. 단, 소비자가가 많이 비싸며, 고속충전을 지원하지 않는다. 2016년 10월 현재 쿠팡 등의 오픈마켓에서 2~3만원에 구입할 수 있다. 적당한 가격에 처분했다.
=== 휴대용 선풍기에 딸린 배터리 3000mAh ===
[[구글픽셀]]과 [[크롬북]]을 고속충전할 수 있는 보조 배터리. 무겁고 부피도 크지만, 일단 챙겨놓으면 든든하다.
== 리튬 이온 배터리 오래쓰는 방법 ==
* 출처 : [http://www.eetkorea.com/STATIC/PDF/200806/EEKOL_2008JUN16_POW_STECH_TA_02.pdf?SOURCES=DOWNLOAD 리튬이온 배터리 장수 비결은 올바른 충방전에]
리튬이온배터리의 사이클 수명을 늘리기 위한 지침 몇 가지를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1. 배터리 수명의 20~30퍼센트를 사용한 뒤에는 재충전한다. 가능하면 완전방전 사이클은 피해야 한다.
2. 용량의 백퍼센트까지 충전하지 않도록 한다.[* 소니 mp3 player는 배터리 수명을 위해 9x%까지만 충전시키는 기능이 있다.]
4. 배터리 온도가 극단적이 되지 않도록 한다. 특히 0℃ 미만에서 충전하지 않도록 한다.
5. 높은 충방전 전류는 배터리에 극도의 스트레스를 가하므로 피하도록 한다.[* 급속 충전을 남발하면 안되는 이유. 사람도 많은 양을 한번에 빨리 먹으면 체하지 않는가.]
6. 2V나 2.5V 미만에서의 심한 과방전을 피하도록 한다. 이 경우 리튬이온 배터리가 급속히 영구적 손상을 입게 되기 때문이다.
== 보조 배터리 성능 테스트 ==
[http://www.kca.go.kr/brd/m_32/view.do?seq=1945 보조배터리의 충전가능용량, 표시용량 대비 최대 69 % 수준] by 한국소비자원
- Nexus 5 . . . . 22 matches
이렇게 쓸만한 넥서스5의 최대 단점은 바로 얇은 두께를 위해 희생된 '''배터리'''와 알아차리기 어려울 정도로 '''약한 진동음'''. 배터리가 일체형이라 따로 휴대용 배터리를 챙겨야 한다. 그나마 충전 속도가 빠르다는 것이 일말의 위안. 진동은 루팅해서 더 강하게 만들수는 있지만, 오십보백보 수준이다.
14년 10월 안드로이드 5.0 (롤리팝) Preview가 공개되었다. 많은 사용자들은 머터리얼 디자인과 볼테이지 프로젝트[* OS 자체적으로 배터리를 절약하며, 4.0 킷캣보다 더 오래사용할 수 있다고 한다.]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15년 1월 31일 현재 최신 버전은 롤리팝 5.0.1. 베타 버전에서 알려진 문제점들은 대부분 개선이 되었으나, 아직도 메모리 & 배터리 누수 & 미묘한 랙과 같이 조정해야할 것들이 남아 있다. 이 부분 때문에 보다 안정적이고 빠른 킷캣으로 복귀하는 유저들도 다수 있다.
* 배터리 커버 : 뒷면에 4개의 둥글고 납작한 철판이 내장되어 있다. 덕분에 LG무선충전기 위에 올려놓으면 철썩 달라붙는다.
1. 배터리 효율 살짝 증가.
Q: 배터리가 너무 빨리 방전된다. 해결 방법은?
A: 불필요한 서비스[* 위치기반 서비스인 구글 나우, 동기화 서비스 등]를 끄고, 시도때도 없이 배터리를 빨아먹는 뱀파이어 app이 있는지 확인하자. 해당 앱을 꼭 사용해야 한다면 루팅 후 Greenify를 이용한다. 그런데 가장 중요한 것은 화면 밝기를 낮추는 것이다. 보통 실내에서는 15% 정도가 적당하다.
그걸로 부족하다면 배터리 절약에 특화된 Custom Rom / Kernel을 바꿔보자. 최후의 방법으로 Art 전환이 있다. 일부 App을 사용할 수 없지만, 퍼포먼스 향상 및 배터리 절약에 살짝 도움이 된다.
최후의 수단은 휴대하기 좋은 [보조 배터리]를 하나 준비하는 것. 가격이 저렴하고, 다양한 디자인의 제품을 찾아볼 수 있다.
Q: 넥서스5 배터리는 2300mAh이고, 내장형이라 불만이다. 배터리 용량을 늘리려면?
A: 용량을 늘릴 수 있는 방법은 없다. 별도의 휴대용 배터리 또는 배터리 케이스를 구입하면 간접적으로 사용 시간을 늘릴 수 있다. (참고: [wiki:Nexus%205/Accessary#s-3 배터리 케이스])
Q: 넥서스5 Black을 사용하고 있는데, 배터리 커버를 White로 or 새 것으로 교체하고 싶다.
A: LG SVC Center에서 배터리 커버를 약 4만원에 판매하고 있다.[* 무선충전&NFC 모듈이 내장되어 있어 비싸다.] 그 돈이면 케이스를 하나 더 사는 게 낫다.
Q: 넥서스5 배터리를 교환하려면?
A: 사람들 입에 가장 많이 오르내리는 걸 선택하자. 또한 1달 전에 많이 추천하던 거라도 지금은 상황이 바뀌었을 수 있으니 언제나 최신 정보를 바탕으로 고르는 게 좋다. 잘 모르겠다면 넥서스5 커뮤니티에 질문하자. [* '전 자질구레한 기능보다는 순정처럼 깔끔하고 빠른게 좋아요.', '최대한 많은 기능이 있고, 모든 옵션이 한글이었으면 좋겠어요', '배터리 효율성이 최고인게 좋아요~' 등등.]
* [http://yoonjiman.net/2014/04/07/the-ultimate-guide-to-solving-ios-battery-drain/ iOS 배터리 드레인을 해결해 줄 가이드]: [안드로이드] 폰에도 일부는 적용할 수 있다. 한번쯤 읽어보자.
- XpressMusic N5800/사용기 . . . . 20 matches
생각보다 빨리 익뮤가 배송되었다. 하드웨어 첫 느낌은...생각 외로 두껍다는 거? 기존에 가지고 있는 핸폰보다 5mm정도는 더 두꺼운 것 같다. 하드웨어는 확실히 싼티가 난다. 겉보기에는 그럭저럭 준수하지만, 배터리 교체를 위해 뒷덮개를 분리한다거나, 메모리카드를 끼우거나, 유심카드를 교체할 때 불편하다.
{{|'''[[Date(2010-07-07T12:44:58)]]''' : 왓츠앱, Gravity 등의 어플을 동시에 켜놓고 사용하니 소모되는 배터리량이 장난이 아니다. 두껍더라도 대용량 배터리를 구입하고 싶을 정도다. 거기다가 배터리 2개 잔량이 각각 0, 2%인데 충전기는 학교에 두고왔다 OTL. 여분의 충전기나 충전 거치대를 구입해야 향후 익뮤 생활에 지장이 없을 것 같다.|}}
{{|'''[[Date(2010-07-09T04:34:02)]]''' : 어젯밤에 익뮤를 켜놓고 잤는데, 아침에 일어나 보니 익뮤가 기절해 있었다. 아무리 전원버튼을 눌러봐도 반응이 없길레, 여분의 배터리로 갈아끼니 그제서야 부팅이 된다. 그리고 충전기에 끼워놓고 밥먹고 와보니, 또 기절했있다(...) 이번에는 끼워져 있는 배터리를 뺐다가 다시 끼니 또 부팅이 된다. 너무 무절제 하게 익뮤 환경설정 프로그램을 설치한 여파인가? 역시 스맛폰은 순정으로 쓰는 것이 가장 좋은 것 같다.|}}
{{|'''[[Date(2010-07-10T05:46:23)]]''' : 네이버 노키아 공식 사용자 모임을 통해 [익뮤] 배터리 충전기를 저렴하게 구입했다. 배터리 충전이 익뮤에서만 가능하던 불편함을 속시원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되었다. 이제 블루투스 동글과 액정보호지만 구입하면 익뮤 악세사리 구입은 끝난다. 이렇게 2~3개월 사용하다가 깔끔한 하우징으로 교체해 줘야겠다.|}}
{{|'''[[Date(2010-07-14T15:53:29)]]''' : 배터리 충전 거치대가 도착했다. USB 또는 전원 연결로 충전할 수 있는 제품이었다. 단, 뒤집으면 배터리가 힘없이 뚝 떨어지는 건 조금;;; 그리고 싼티나는 자주색 발광이 인상적이다. -_-;|}}
{{|'''[[Date(2010-08-01T07:17:43)]]''' : V20으로 업데이트 한 사람들은 대부분 '배터리가 더 빨리 소모된다', 'wifi가 잘 안잡히지 않냐?', '키네틱 스크롤 외에는 그닥 개선사항이 눈에 띄지 않는다'라는 불만을 표시하고 있다. 원래 V50에는 오피스 프로그램이 기본으로 탑재되어 있으며, 혹시 업데이트 하면서 OVI map을 한국에서도 사용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감을 가졌기에 그런 불만은 한층 더 크게 나타나는 것이 아닐까. 익뮤는 만족스럽지만, 한국 특유의 환경때문에 사용하지 못하는 기능이 많다는 건 답답하다.|}}
{{|'''[[Date(2011-02-05T13:25:09)]]''' : 2주 전에 병원 화장실 바닥에서 [[익뮤]]가 추락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떨어짐과 동시에 뒷커버, 배터리, 본체가 분리되더라; 배터리 끼워서 켜보니 아무런 응답이 없다! 결국 A/S를 맡겼는데, 이게 왠일인가./ 전원이 안켜지는 원인은 모르겠고, 다른 하드웨어에서 문제가 전혀 발견되지 않으니 신품으로 무료교체를 해준다는 것이 아닌가!!!!!!! 커펌에서의 한글입력이 영 불편해서, 정펌을 그리워했던 나에게는 절호의 기회가 찾아온 것이다. 예전에 잊어버린 플라스틱 쪼가리(스타일러스 펜)을 구입하느라 4천원 가량을 소비했지만, 정말 만족스러운 A/S였다. 이제 2~3개월 뒤에 [[안드로이드]] 버스폰으로 옮겨타게 되면, 익뮤도 적당한 가격에 팔아치워야겠다. 룰루루~|}}
{{| '''[[Date(2011-04-07T12:55:34)]]''' : 익뮤 배터리 상태가 영 안 좋은 것 같아, 새로운 스맛폰 영입 혹은 새 배터리 구매라는 고민을 하고 있다. 근데 익뮤 배터리 표시는 버그이며, 마지막 1칸이 배터리 총 량의 70%라는 댓글을 얼핏 보게되었다. 예전에 봐두었던 '''배터리 용량을 올바르게 표시해주고, 사용 통계도 표시해준다는''' Nokia Battery Monitor라는 앱을 설치했다. ...이게 왠걸?! 아침에 완충해 놓고, 오후 2시쯤 되면 40% 정도만 남던 그 익뮤가 달라졌다. 저녁이 될때까지 60%를 유지했고, 다음날 오전 11시까지 45% 이내로 떨어지지 않았다. 9개월 동안 혹사시킨 배터리 상태가 이렇게 좋다닛! 역시 익뮤의 전원관리 능력은 탁월하다. 그리고 전원표시 능력은 최악이다;|}}
{{|'''[[Date(2011-04-12T01:45:57)]]''' : [http://memorecycle.com/2867278 스맛폰 배터리도 사용하기 나름]. 익뮤는 정말 대단한 스맛폰이다. 심비안 전용 app만 많았다면 더 좋았겠지만 그건 별 수 없는 문제고. 익뮤야 그동안 수고했고~ 앞으로도 잘 부탁한다!|}}
- IMP1000 . . . . 18 matches
#keywords 배터리,충전
중국 ATL[* 갤탭 배터리를 공급했다가 문제가 발생했던 그 회사가 맞다; 갤탭에 사용된 배터리는 후에 삼성에서 한국산으로 무상교체해 주었다.] battery cell을 사용하고 있는 휴대용 [["보조 배터리"]]. [[펀샵]]에서 싸게[* 소비자 정가 135,000원 → 66,000원] 팔고 있는 것을 충동구매했다.
|| 구성품 || 보조 배터리 본체, 커넥터, AC 충전 어댑터, 메뉴얼 ||
배터리 용량이 11,000mAh이지만, 3.7V에서 5V로 승압하는 과정에서 적잖은 손실이 발생한다. 거기에 중국산 battery cell임을 생각하면 실제 사용 가능한 용량은 7000~9000mAh 정도가 아닐까?
판매사 말로는 직접 충전 테스트를 해보니 완충하는 데 9시간이 걸린다고 한다. 하지만 메뉴얼에는 5시간이면 충분하다고 적혀있다. 리튬 이온 전지의 특성 상, 완충하는 것이 오히려 배터리 수명에 악영향을 미친다. 가능하면 5~6시간 정도만 충전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 크기는 생각보다 작지만, 은근히 묵직하다. 야외에서 배터리가 다 소모되어 안절부절 하지 못하는 경우는 없겠지만, 오랫동안 휴대하기에는 부담될 것 같다. 구성품에서 [[PSP]] 충전 어댑터와 파우치가 없는 것이 매우 아쉽다. 파우치는 어머니 화장품 가방으로 대체했다. 좀 더 좋은 가방을 찾아봐야겠다.
* 배터리 용량이 큰 탓일까? IMP1000를 충전할 때 충전 어댑터와 배터리 본체가 매우 뜨거워진다. 한번 더 사용해보고 문제가 있으면 구입처에 문의해봐야 겠다. → 스맛폰을 220V로 충전할 때도 뜨거워 진다. 딱히 IMP1000만의 문제는 아닐 것이다.
* 주로 외부에서 스맛폰 배터리 방전 시 애용하고 있다. 출력 전류가 1A라서 그런지 짧은 시간 동안에도 충전이 빠르다. 갤탭 등의 패드는 충전 시간이 느리다고 하는데, 직접 테스트해보고 싶다. 이김에 하나 질러?;
* 한 달 정도 들고 다녀보니, 이 제품은 급할 때 보조 배터리로 이용하기에는 어울리지 않는다. 긴 시간 동안 이동하거나 놀러갈 때 휴대할 경우에는 매우매우 좋지만, 근거리 이동 시에는 짐이 된다. [[안드로이드]] 스맛폰 배터리가 걱정된다면, 차라리 추가 배터리와 USB 케이블을 휴대하는 것이 좋다.
* 이 배터리를 구입하고 2~3달 뒤, 마시마로 배터리 처럼 가격대 성능비가 좋은 제품이 등장했다. 그 제품은 5V2A 출력이기에 아이패드도 충전이 가능하다고 한다. IMP1000은 배터리 수명이 다할 때까지 쓰다가, 나중에 DIY 제품[* http://cafe.naver.com/libdiy/19]으로 갈아탈 생각이다.
* [[Date(2013-01-23T08:58:09)]] 사용한지 6개월이 지났다. 아직까지는 큰 문제없이 잘 사용하고 있다. --배터리 Cell이 중국산이라 충전 효율이 떨어지는 게 눈에 보이는 듯.. 실제로는 5000~6000mAh 정도만 충전이 가능한 것 같다.-- 사실 한번 완충해 놓으면, 가끔 급할 때만 잠깐 사용하기에,,,얼마나 성능이 나오는지 체감이 안된다. 스맛폰 3~4번 완충하는 데에는 큰 문제가 없다. 다만 제법 큰 크기와, 285g 무게가 맘에 걸린다. 이거 하나만 빼도 짐이 상당히 가볍게 느껴진다.
- HTC 레전드 . . . . 17 matches
통짜 알루미늄 바디를 사용한 htc의 안드로이드폰. 2011.04에 스맛폰 요금을 적용하면 요금제 자유보다 더 싸게 전화/문자/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기에 사용자가 늘어나고 있다. 배터리 소모가 빠르다는 문제가 있지만, 이 부분은 os 업그레이드(프로요) / 위젯 사용 최소화 / 검은색 배경 사용 등으로 완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2011년 중반 이후에는 중고가 8~15만원에 거래되고 있다. 비록 화면이 작고 3g로 여러가지를 즐긴다면 배터리가 오래 가지는 않지만, 연속 통화 시간(440분) 및 대기 시간(560분) 만큼은 우월하다. (참고 : [http://clien.career.co.kr/cs2/bbs/board.php?bo_table=park&wr_id=4809657 스마트폰 박대리 조기 퇴근 종결자.jpg])
* [[익뮤]]와 배터리 용량이 같지만, 소모 속도는 더 빠르다.[* 수면 시간(약5~7시간) 동안 익뮤는 1~3%, 레전드는 5~10% 정도의 배터리가 소모된다.]
* 배터리 충전이 5핀 USB로만 가능하다. PC와 220V 둘 다, 충전할 경우 완충 속도는 3시간이 걸린다. 충전 어댑터도 USB만 꽂을 수 있다.
* 1일차 : 박스와 구성품, HTC 레전드 본체는 작고 아담하다. 특히 알루미늄 통짜로 만들어진 바디 디자인은 멋지다! 근데 항상 가벼운 [[익뮤]]만 사용해서인지, 레전드의 무게가 부답스럽다; SD 카드 오류가 많이 난다고 하길래, 받자마자 폰 자체에서 포맷을 했다. 이렇게 해야 문제가 없다던가? 디스플레이는 화사하고 쨍한 것이 맘에 든다. Anha:"AMOLED"지만 갤럭시 S의 뭔가 과장된 색감보다는 한결 자연스럽다. 그치만 역시나 배터리 소모량은 장난이 아니다. 배터리 사용통계를 보면 80~90%가 디스플레이 동작에 사용되고 있다. 완충하고 간간이 음악듣고, 3G 데이터 통신으로 app을 다운받아서 설치하기만 했는데 어느새 배터리 20%가 날아갔다. 그나마 배터리가 1개 더 있으니 다행이지만. 어떻게 해야 배터리 소모량을 줄일 수 있을 지 고민을 해봐야 겠다.
* 2일차 : 배터리가 쭉쭉 줄어드는 건 여전하다. 그나마 USB 충전이 되니 PC 앞에서 일할 때는 마냥 충전모드에 들어가 있다. 이 상태에서 USB를 통한 스맛폰 원격제어가 되면 좋겠지만 방법은 아직 못찾았다. 데이터를 PC에 백업하기 위해서 HTC Sync라는 관리 프로그램을 [[Windows7]]에 설치했다. ...디스크 모드는 잘 되는데, HTC 연동 모드에서는 폰과 PC가 서로 인식하지 못한다. 해결책은 있는 걸까?
* 4일차 : HTC sync는 Windows7에서는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고 한다. [[WindowsXP]]로 멀티부팅해서 데이터를 백업하거나, 루팅해야할 것 같다. 그리고 이제부터는 배터리에 크게 신경쓰지 않고 편하게 사용하기로 마음먹었다. 어차피 PC 앞에서는 계속 충전을 하고 있고, 여분의 배터리와 [[익뮤]]가 있기에 전화 통화에는 문제가 없다.
* 슬슬 안드로이드에 적응하고 있다. 배터리가 30% 미만으로 떨어져도 그냥 무덤덤하다; 배터리야 바꿔끼거나 충전하면 그만이니깐. 그리고 사용하는 어플도 대강 추려놨다. 아직 찾지 못한 좋은 어플이 있다면 모를까, 한동안은 사용 패턴이 변하지 않을 것 같다.
* [http://forum.xda-developers.com/showthread.php?t=693367&page=11 1800Mha 배터리??] : 배터리 시간이 길어졌다 vs 1300Mha와 별반 차이가 없다는 의견이 대립하고 있다. "Did you properly format the battery and clear the batt stats?"라는 얘기가 있지만, 이건 순정 사용자에게는 해당되지 않는다. 루팅을 하면 사용시간이 늘어나는건가?
- Nexus 5/Accessary . . . . 17 matches
넥서스5는 다른 고가 스마트폰보다 가격이 저렴하지만, 파손되면 수리비만 10~15만원이다.[* 디스플레이가 일체형이라 교체 비용은 11만 6천 5백원이다. 후면 배터리 커버 가격은 4만원이다.] 많은 사람들이 파손 보험에 가입하지 않는 걸 생각하면 케이스는 필수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 배터리 케이스 ===
스마트폰 사용시간을 늘리기 위한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다. 일반적으로는 소프트웨어를 최적화해서 배터리 소모량을 줄이거나, 휴대용 배터리를 이용하곤 한다. 아예 배터리를 물리적으로 늘리는 방법도 있다. 스마트폰에 추가 배터리를 연결하고, 그걸 케이스로 감싸버리는 형태이다.
||배터리에 USB port가 있어 케이스와 별도로 사용할 수 있다.
1. 사용시간 증가: 넥서스 5를 최적화할 경우, 화면을 켠 상태에서 5~6시간을 연속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 3500mAh 용량이 더해지면, 약 2배 시간을 버틸 수 있다. 참고로 zerolemon 배터리는 3.8V에서 5V로 승압하는 과정에서 전력이 손실된다. 결과적으로 전력량은 넥서스5의 2300mAh와 엇비슷하다.
1. 배터리만 분리해서 휴대용 충전기로 활용할 수 있다.
1. 배터리 출력이 5V 1A라서 충전속도가 느리다. 배터리 용량이 20~30%일때 미리 충전 버튼을 누르자.
1. 스마트폰 데이터 케이블 연결이 불편하다. 스마트폰과 추가 배터리는 커넥터로 고정되어 있으며, 그걸 분리하기가 쉽지 않다. 자주 분리할 경우 파손될 수도 있으니, 데이터는 되도록 무선으로 주고받는 것이 좋다.
* --고속 충전 케이블 : 넥서스5는 PC와 일부 휴대용 배터리로 충전할 경우, 속도가 유난히 느리다. 이때 2X faster charger과 같은 고속 충전 케이블을 연결해야 된다는 소문이 있다.--
=== 추가 배터리 ===
LG전자 정식 서비스 센터의 배터리 교체 비용은 28,500원
[아마존], [이베이]에서 직접 배터리를 구입해서 교체할 수도 있으나, 짜가 배터리가 넘쳐나는 곳이라 조심해야 한다.
- OptimusVu . . . . 14 matches
LG에서 개발한 4:3 비율의 5인치 스마트폰. 기존 스마트폰 비율을 깨버린 이단아. 최적화도 잘 되어 있고, 배터리도 생각보다는 오래가지만 저평가되고 있다. 블랙 모델은 딱 크기나 비율이 학교 미술시간에 쓰던 미니 벼루를 닮았다.
최대 단점은 사용자가 직접 배터리 교체를 못한다는 점. 별드라이버와 신용카드로 분해를 할수는 있지만, 배터리를 시중에서 구할 수가 없다. A/S 센터에서 구입할 수 있지만, 그럴 바에야 교체 서비스를 신청하는 게 낫다.
* 자체 절전 모드 : 배터리가 일정 하한선으로 떨어졌을 때, Wifi / 동기화 등의 배터리 먹는 기능이나 모듈을 자동으로 꺼준다.
* 배터리 (2080 mAh, 리튬 폴리머)
1. 시간당 10% 가량 소모된다. 디스플레이 크기가 커서 계속 사용할 경우 빠르게 방전된다. 배터리가 일체형이기 때문에, 자주 충전하거나 휴대용 배터리를 따로 장만하는 게 좋다. 한때 정품 대용량 배터리 얘기도 있었지만, 루머에 그쳤다. [http://mdy2.tistory.com/336 배터리 개조해서 사용 시간을 늘릴 수]도 있으나, 위험하니 따라하지 말자.
=== 배터리 사용 시간 늘리기 ===
* --2012 상반기에 선보인다는 4000mAh 대용량 배터리 사용-- 굳이 필요없을 거라며 LG전자에서 만들지 않기로 발표했다. ([http://clien.career.co.kr/cs2/bbs/board.php?bo_table=use&wr_id=367604&sca=&sfl=wr_subject&stx=%EB%B7%B0 관련 글])
배터리 절약에 좋지만. LTE를 다시 사용하려면 또 설정 수정 후 재부팅을 해야 한다.
1. 배터리를 70~80% 이상이 되도록 충전
- Ricoh GR . . . . 14 matches
가격은 약 17만원. GF-1 이외의 호환품은 수동 발광만 가능하다. 참고로 AA 사이즈 배터리 4개가 들어간다. {{{{color:red}인터넷 쇼핑몰에는 AAA 배터리를 사용한다고 잘못 표기되어 있으니 주의하자.}}}
||AA 배터리 4개 (별매)
리튬 배터리 및 니켈수소(NiMH) 충전용
배터리 사용 가능
|| 배터리 수명
||알카라인 배터리로 약 200백번 이상 발광 (리코사 측정에 근거)
||약 4.7초 (니켈수소 충전용 배터리)
약 5초 (알카라인 배터리)
||약 240g (배터리 제외)
=== 배터리&충전기 ===
호환 배터리와 충전기를 인터넷에서 4~5천원에 구입할 수 있다. 이왕이면 안정성이 높은 정품을 이용하자. (시그마 메릴1 배터리 사용 가능)
* Google:"Sony RX100markII" : 100만원. RX100 + (Wifi/틸트액정/NFC/AA필터제거/배터리 향상/고감도 ISO 향상/핫슈). 기본 성능은 GR이 우세이긴 하지만, 편의성 측면에서는 요놈이 조금 더 나은듯
- DC-G9 . . . . 13 matches
||메모리/배터리||SDHC/SDXC 메모리 카드 듀얼슬롯, UHS-2 지원[[br]]리튬이온 DMW-BLF19E, 7.2v 1860mAh||
* 배터리 유지시간은 적당하다. 외기온도 5~10도 / 기계셔터 / EVF 120HZ / 노출 브라케팅 촬영 조건으로 약 450컷을 촬영하니 배터리가 1칸이 남았다. 여행할 때는 추가배터리 1개는 꼭 챙겨야 할 것이다. 휴대용 보조배터리 + 파나 정품 배터리 충전기가 있으면, 외부에서도 방전된 배터리를 편리하게 충전할 수 있다. 바디 충전이 가능하지만, 파나 정품 케이블이 필요해서 번거롭다. (일반 USB와 포트 규격이 다르다)
* LVF 표시속도: 120fps (배터리는 더 많이 소모하지만, 보다 자연스럽다.)
* 배터리 사용 우선순위: 세로그립 장착 시 활성화됨. 바디와 그립의 배터리 우선순위를 지정
* 더블 슬롯 기능: RAW+JPG 촬영 시, 분리저장 (RAW는 sd1, JPG는 sd2) 한다면 연사촬영 대기시간이 약간 줄어든다. 대신 배터리는 더 빨리 소모된다.
* 내구성이 더 큰 배터리 (올림푸스는 남은 배터리 수명 표시기 문제를 해결할 예정입니다.)
- Nexus 5X . . . . 13 matches
그러나 지문인식, 배터리 용량 소폭 증가, 고속 충전 등의 특장점 덕분에 충분히 구입할 가치가 있다. 넥서스 5가 뭔가 실험적인 느낌이라면, 넥서스 5X는 완성형 모델이라고 볼 수 있다.
* '''배터리 용량 소폭 증가''': 2300 --> 2700 mAh. 그리고 안드로이드 마쉬멜로우의 Doze Mode 덕분에 실사용 시간이 꽤 증가했다. 이제 더 이상 조x라는 소리를 듣지 않을 것이다. 그리고 급속충전 기능이 적용되었다. 구글에서는 10분 충전 시 7시간 사용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고 얘기하고 있습니다. 구글에서는 퀄컴 퀵차지를 지원하지는 않는다고 공식적으로 발표했으나, [http://www.betanews.net/article/621870 실제 분해를 해보면 퀄컴의 퀵 차지 2.0칩 'SMB1358'가 내장되어 있다]고 한다. 현재까지 알려진 정보에 의하면 퀄컴 퀵차지는 고전압 방식(전압을 일시적으로 승압. 최대 전력 18W), 구글 급속 충전은 USB Type-C에서 고전류 방식 (5V/3A. 최대 전력 15W)이라고 한다. 참고로 3A를 흘려넣으려면 USB Type-C 케이블이 필요하다.
* '''XDA 지원''': 레퍼런스 폰을 사용하는 순간부터 전 세계 웹에서 활동하는 고수들의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지원은 공짜지만, 물론 그걸 이용하려면 사용자 스스로 발벗고 나서야 한다.) 넥서스 5X는 6p와 카메라 하드웨어는 동일하지만, EIS(도영상 촬영시 전자식 손떨림 보정), 버스트 샷 (사진 연속 촬영) 등의 기능을 사용할 수 없다. 그러나 이미 XDA에서는 이 기능을 언락한 카메라 앱을 배포하고 있다. 그리고 여명 808 (스냅드래곤 808 - 넥서스 스냅드래곤 800과 비교했을 때 성능 향상이 고만고만함)의 성능도 사용자 입맛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전화 카톡 인터넷만 쓰는 라이트 유저라면 성능을 억제해서 배터리 시간을 늘릴 수 있고, 성능이 중요하다면 오버클럭, 최적화, 암호화 비활성화 (딜레이가 줄어듬)로 반응성을 극대화 할 수 있을 것이다.
* 미칠듯이 빠지는 배터리: 배터리 대기시간은 괜찮지만, 한번 제대로 사용하기 시작하면 배터리가 순식간에 사라진다. 그나마 충전 속도가 빠른게 다행.
||'''고속 충전''' 지원 (10분 충전으로 최대 4시간 사용)[* USB 타입-C 15W(5V/3A) 충전기에 USB C-C Type을 꽂아 충전하는 경우에만 적용. 고속 충전은 배터리가 거의 방전 상태에 있을 때 지원되며, 충전이 진행되면서 충전 속도가 느려집니다. ([https://support.google.com/nexus/answer/6102470?hl=ko 참조])]
=== [[보조 배터리]] ===
넥서스 5X는 급속 충전 시 최대 3A의 전류를 받아들일 수 있다. (최대방전상태일 때 3A. 이후 배터리 충전 상태에 따라 전류량이 줄어든다고 한다.) 그러나 실제 충전시 LG번들 충전기 전류량은 최대 2.6A이다. 허용한계치는 3A가 맞으나 기기에 문제가 발생할 것을 우려하여 제한을 걸어 놓은 것 같다.
또한 USB Type-A의 전류량은 0.5~1.5A 이기에, USB Type-C 케이블이 있어야 제대로 된 급속 충전을 할 수 있다. 기존 보조 배터리를 이용하다가, USB Type-C 케이블과 3A를 지원하는 제품이 나오면 갈아타는 것이 좋다. 딱 해당 조건을 갖춘 샤오미 배터리가 있으나 용량이 20000mAh이기에, 휴대하기는 다소 버겁다. 애시당초 이 물건은 맥북을 충전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다.
* Google:"샤오미 배터리": 엄청난 가성비와 깔끔한 디자인으로 인기몰이 중. 입력 5V, 2A 마이크로USB 1포트 / 출력 5V, 2A USB출력 1포트. USB Type C-micro B Cable을 연결하면 고속충전을 할 수 있다.
||배터리
- 마우스 . . . . 13 matches
처음 사용해본 무선 마우스. 선이 걸리적 거리지 않고, 자체 절전 모드가 있어 최대 1년 동안 배터리 교체없이 사용할 수 있다. --다만 AA 사이즈 배터리 2개가 사용되기에 은근히 묵직하다. 차라리 배터리 시간을 절반으로 줄이고 AAA형 배터리를 사용하는 게 낫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패키지에 AA 배터리가 2개 포함되어 있고, 마우스에도 2개를 끼울 수 있다. 하지만 1개만 넣어도 작동에 아무런 문제가 없다. 가벼운 게 좋다면 1개만, 좀 더 묵직한 걸 원한다면 2개 다 넣으면 될 것 같다.
1. AA 배터리 2개를 사용하지만, 1개만 사용해도 작동에는 전혀 문제없다.
옴론 스위치를 마우스 클릭버튼에 사용하고 있는데, 이 스위치의 내구성이 매우매우 약하다. 사용한지 1년도 안되어 더블클릭 에러[* 한번 눌렀는데 두번 눌렀다고 인식하는...]가 발생한다. 마우스 버튼을 세게 내려치기, 배터리 분리한 뒤 20초 동안 클릭하기 등의 해결책이 있지만 임시방편에 불과하다. 가장 좋은 방법은 옴론 스위치를 교체하는 것. 인터넷에서 700~1,500원 정도 하는 옴론 스위치를 구입해서 교체하면 된다. 다른 마우스에서 빼오거나, 그것조차 없다면 마우스 좌/우 스위치를 교환하는 것도 방법.
다른 로지텍 무선마우스처럼 AA 배터리가 2개 들어 있어 살짝 묵직하다. 좀 더 가벼운 걸 선호한다면 배터리를 1개 꺼내자.
1. 배터리 1, 2개 사용에 따라 무게 조절 가능
1. 휴대하기 좋고, 배터리 소모율이 낮은 로지텍 유니파이 수신기 사용. 마우스 배터리 삽입구 옆에 휴대할 수 있다.
USB 충전기, 휴대용 배터리로 유명한 Anker에서 만든 버티컬 마우스. 가격은 2.5만원 정도로 저렴하다. 익숙해지는 데 시간이 걸리지만, 나중에는 다른 마우스는 불편해서 사용할 수 없게 된다.
- 잡담/2014 . . . . 12 matches
[크롬북] 제조사들은 성능/배터리 지속 시간/하드웨어 완성도/디스플레이 품질 사이에서 균형잡는데 고심하고 있는 듯하다. 사용자 입장에서야 다 만족하기를 바라지만, 품질이 좋아질수록 생산 단가는 가파르게 상승한다.
디스플레이 품질은 고만고만하고, FHD도 아니지만 배터리는 오래가는 크롬북 가격이 보통 USD 150~200이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품질은 좋고, FHD + IPS인 모제품 가격은 최소 USD 299.
Anha:"한성컴퓨터"에서 14년도 기준 끝판왕 게이밍 노트북 출시 예정. 모델명은 EX54이며, 노트북에 무려 데탑 서버 CPU인 제온과 GTX980m을 때려 박았다. 현재 출시된 왠만한 게임은 다 쌈싸먹을 수 있는 수준. 물론 소비전역이 엄청나기에 배터리는 그냥 정전시 UPS 정도의 역할만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1. 배터리가 오래간다. (에어 12시간, 맥북프로레티나 9시간)
[http://clien.net/cs2/bbs/board.php?bo_table=news&wr_id=1829062&page=0 아시아에서 온 괴물: THL 5000, 5000mAh 배터리]: 가격은 단돈 300달러. 근데 중국제 타블릿을 써본 경험으로는 그리 추천하고 싶지 않다. (마감은 싸구려틱하고 배터리는 쭉쭉 닳아 없어지며, 반응 속도도 처참했었다.) 아마 가격만큼의 성능과 만족감을 줄 것이다.
배터리는 저가 Cell을 사용할테니, 효율은 60~70% 수준일 것이다. 그리고 미디어텍 칩(옥타코어 MT6592 @ 1.7Ghz / 쿼드코어 Mali 450 GPU @ 700Mhz) 성능도 다소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 타 회사 플래그쉽 스마트폰에 비교하기 민망한 수준이 아닐까.
그리고 저가 부품 + 대용량 배터리는 참 위험한 조합이다. 안전사고가 발생할 확률도 높고, 한번 폭발하면 돌이킬 수가 없다. -- 파초 [[Date(2014-06-23T14:47:10)]]
[http://yoonjiman.net/2014/04/07/the-ultimate-guide-to-solving-ios-battery-drain/ iOS 배터리 드레인을 해결해 줄 가이드]: 이미 알고 있는 것들이 많지만, 배터리 표시를 아예 꺼버리라는 것은 신선하다.
확실히 나는 스마트폰을 오래 사용할 수 있도록 배터리 케이스 까지 구입했지만, 여전히 배터리 표시에 마음을 쏟고 있다. 아예 숨겨버리니 마음이 편해진다. -- [파초] [[DateTime(2014-04-07T23:19:39)]]
- 잡담/2011 . . . . 11 matches
[http://www.google.co.kr/imgres?imgurl=http://www.rupert.id.au/smartpen/images/inside-livescribe-small.jpg&imgrefurl=http://www.rupert.id.au/smartpen/technology.php&usg=__ALtd1_QzJrpXHyhfMbroUmcZxO8=&h=320&w=207&sz=12&hl=ko&start=60&sig2=JTf8MNgajHFDkZxyveJ-Ig&zoom=1&tbnid=_r_dQM_yhoxrgM:&tbnh=118&tbnw=76&ei=jlWSTujZFrHPmAXsv8wW&prev=/search%3Fq%3Dpulse%2Bsmartpen%2Bbattery%26start%3D40%26hl%3Dko%26lr%3D%26newwindow%3D1%26sa%3DN%26tbm%3Disch%26prmd%3Divnsul&itbs=1 pulse smartpen 분해사진]을 보면 내부에 어떤 부품이 있는 지 알 수 있다. 아마도 C파트가 배터리? -- [파초] [[DateTime(2011-10-10T02:24:56)]]
[[PulseSmartpen]] 배터리가 방전되어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고 있다. 직장에서 보안 때문에 사용하기도 애매하지만, 기계가 그대로 놀고 있다는 것이 너무 안타깝다. 그렇다고 16만원 주고 에코 펜으로 교환하기는 너무 돈이 아깝다!
그래서 Google:"Pulse smartpen disassemble"로 구글링해보니 분해에 관련된 글이나 동영상이 몇 개 찾을 수 있었다. 과연 배터리만 무사히 교체할 수 있을까? -- [파초] [[DateTime(2011-10-10T02:00:13)]]
[http://www.eetkorea.com/STATIC/PDF/200806/EEKOL_2008JUN16_POW_STECH_TA_02.pdf?SOURCES=DOWNLOAD 리튬이온 배터리 장수 비결은 올바른 충방전에] : 리튬이온 배터리를 사용하는 휴대기기가 늘어나고 있는 지금 한번 쯤 읽어볼 만한 글. 배터리를 쉽게 교체할 수 있다면 그냥 기분내키는 대로 충전하면 된다. 하지만 PulseSmartpen과 같아 배터리 교체가 불가능한 기기는 정말 조심해서 사용해야 한다.
1. 배터리 수명의 20~30퍼센트를 사용한 뒤에는 재충전한다. 가능하면 완전방전 사이클은 피해야 한다.
4. 배터리 온도가 극단적이 되지 않도록 한다. 특히 0℃ 미만에서 충전하지 않도록 한다.
5. 높은 충방전 전류는 배터리에 극도의 스트레스를 가하므로 피하도록 한다.
6. 2V나 2.5V 미만에서의 심한 과방전을 피하도록 한다. 이 경우 리튬이온 배터리가 급속히 영구적 손상을 입게 되기 때문이다|}}
- mp3p . . . . 10 matches
닌텐도 듀얼스크린(Netendo dls?)를 닌텐도라고 부르는 것처럼, mp3 player도 어느 순간에 mp3라고 불리우고 있다. 외부에서 음악 감상하는 데 있어 배터리 지속 시간, 소음 감소(노이즈 캔슬링) 등의 기능이 매우 중요하다. 아무리 음질/음색이 좋아도 배터리가 1시간 만에 소모된다면 무용지물.
태생은 PDA이지만, 멀티미디어 전용 기기를 표방하여 음원칩을 내장하고 있기에 음원 품질과 [[이어폰]] 성능만 받쳐준다면 다른 mp3p가 부럽지 않을 정도의 음질을 보장한다. 다만 크기가 제법크고, 배터리 효율이 그리 좋지 않는데다가, 용량도 1GB를 넘지 못한다.
최근에 개발된 [[스마트폰]]은 음악을 감상할 수 있을 정도의 퍼포먼스를 보여준다. 용량이 부족하다면 t-flash를 추가 구매하거나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면 그만이다. 별도의 [[음악]] 재생 전용 기기를 휴대할 필요가 없어 좋다. 단, 아무래도 음악 전용 기기보다는 음질이 떨어지며, 배터리가 광속으로 닳아버린다.
1. 오래가는 배터리
* 소니 : 제품군을 3가지로 나눠서 소비자의 선택 폭을 넓히고 있다. 고급형인 A 시리즈는 애플 뺨치게 비싸고, 배터리 성능도 별로다. 중가형은 S시리즈는 가격이 적당하고, 배터리가 오래간다. 보급형인 E시리즈는 S시리즈와 큰 차이는 없지만, 케이스가 플라스틱이라 내구성이 떨이지고 노이즈 캔슬링 기능이 빠져있다. 소니 특유의 음색을 좋아하거나, 소음을 98% 차단한다는 노이즈 캔슬링을 사용하려는 사람들이 주로 구입한다.
* 소니 : 과거의 명성이 바래지 않았다. 주머니에 쏙 들어가는 크기에 오래가는 배터리. 노이즈 캔슬링 기능 덕분에 나만의 세계에 빠져 음악을 즐길 수 있을 거고 말야. 그래도 아이팟이 더 낫지 않냐고?? 아이팟 터치 4세대 32GB 가격이 30만원을 훌쩍넘어가는데? 카드 값 감당 되냐? ㅋ 그리고 그 큰 넘 들고다니면 안 불편하겠냐?
==== 배터리 리필 ====
휴대성이 좋으며 배터리도 오래가고, 전용 노캔 이어폰도 갖추고 있어, [[ZX100]]을 영입한 이후에도 애용하고 있다. 번들 이어폰은 성향이 다소 먹먹/벙벙하지만, 오히려 이런 부분 때문에 장시간 음악 감상하기 참 좋다. 특히 노캔은 비행기 등 소음이 많은 곳에서 잠잘 때 애용하고 있다. (볼륨은 0~1 정도)
- Nexus 5/CustomKernel . . . . 7 matches
배터리 소모 속도가 빠른 넥서스 5는 배터리 효율성에 중점을 둔 커널이 높은 인기를 끌고 있다. 그 중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이 Code Blue, Franco, Linaro 커널이다. 그 외에는 순정의 가벼움과 속도를 지향하는 커널, 기능이 풍부한 올인원 커널 등이 인기를 끌고 있다.
||배터리 지향 커널. 14년도 하반기에 주목받기 시작해서, 15년 2분기 현재에도 많은 인기를 누리고 있다. --Purified kernel에 여러 Tweak을 곁들이고,--Purified kernel의 새 이름이다. Linaro Toolchain으로 컴파일 했으며, 가장 최근에 개발된 스케쥴러인 FIOPS와 Blu_active 거버너를 포함하고 있다. Blu_active는 Interatcive(순간 반응이 빠르고, 배터리 소모가 다소 큼)의 개선판이다.[[br]][[br]]r95?를 마지막으로, 커널 개발이 중단되었다.
||NON-CAF. 배터리 효율성 극대화 & 반응 속도는 수준급. 업데이트 속도가 빠르기에, 전용 업데이트 app(FKU)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참고로 특정 게임이나 앱에서 끊기는 현상이 발생한다는 얘기가 있다.
||NON-CAF&CAF 지원.[* 각각 설치파일이 따로 제공되니 주의하자.] 사용성에 중점을 둔 커널이다. 전용 Governor(ElementalX)를 제공한다. [[아이폰]] 수준의 터치감, 반응성을 자랑한다. 배터리 소모 속도는 Franco, Code Blue보다 빠르다.
||NON-CAF. Franco에서 불필요한 부분을 덜어내고, Linaro Toolchain으로 컴파일 했다. Franco 커널이 업데이트 되면 Linaro도 몇시간 안에 새버전이 올라온다. 배터리 효율이 좋은 Interactive 가버너, Deadline 스케쥴러를 기본값으로 하고 있으며, 최대 클럭은 1728000으로 낮춰져 있다. 그럼에도 순정 이상의 퍼포먼스를 보여준다. 최신버전부터는 GUI 방식의 인스톨러를 제공하고 있다.
- PulseSmartpen . . . . 7 matches
=== 배터리 교체가 불가능하다. ===
PulseSmartpen의 치명적인 단점으로, 겨우 800mAh짜리 배터리가 교체가 불가능하다! 대략 1~2년정도 사용하면 배터리가 방전되어 1시간 정도 필기했는데 전원이 꺼진다[* [[파초]]의 실제 경험담]. 그런데 1년 내에 배터리 문제가 발생하면 무료로 교환해 주지만, 1년이 넘으면 실제 구입 비용과 비슷한 비용을 지불해야 교환을 받을 수 있다. 아, 1~2만원 저렴한 가격이니 그나마 나으려나? 암튼 [http://clien.career.co.kr/cs2/bbs/board.php?bo_table=use&wr_id=304230 에코 스마트펜, 이건 알고 구입하자.]에도 적은 것처럼, PulseSmartpen과 EchoSmartpen 모두 이런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는 것을 알고 구입해야 한다. 미리 여분의 노트를 사놓았지만, 정작 펜의 배터리가 방전되는 어처구니 없는 상황에 빠지지 않기 위해선 말이다.
'''좀 더 배터리를 오래 사용하려면, 스마트펜을 거치대에 항상 얹어 놓지 말자. 거치대에 올려놓고 충전을 할 경우, 충전 완료 > 1~10% 방전 > 충전 시작 > 완충 > 1~10% 방전을 반복하게 된다. 리튬 이온 배터리 특성상, 수명이 왕창 줄어들게 된다.'''
- Nexus 5/CustomRom . . . . 6 matches
기능적으로는 '필수요소만 담아서 가볍게 돌아가는 Slim rom', '순정을 최적화만 한 순정지향 Rom', '최대한 많은 기능을 우겨놓은 All-in-one Rom'으로 구분할 수 있다. 배터리 효율은 Slim > 순정 > All-in-one 순으로 좋지만,... 최적화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Simple Rom. 속도 및 배터리 최적화가 잘 되어 있는 롬이다. 특수 기능은 없지만, 네비바 등의 기본 설정에는 충실하다. Dalvik Runtime과 Xposed Installer를 사용하고 싶은 사람들에게 인기가 좋다.
||CM11 기반의 All-in-one Rom. beanstalk보다 기능이 겹치는 부분이 일부 있으나, 기능은 훨씬 더 많다. 속도도 한층 빠른 느낌. 설정을 잘못한 건지, 원래 그런건지...배터리 누수가 있어 MAHDI로 다시 변경했다.
||독특한 느낌의 커스텀 롬. Expand Desktop, Halo, 화면분할 (spilt view), Gesture등의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그리고 상당히 방대하고 상세한 설정을 할 수 있기에, 시스템을 주물럭 거리기 좋아하는 사람에게 어울린다. 기능이 많은 대신, 대기 배터리 누수가 살짝 있다. 전문가용.
||안정적인 시스템과 오래가는 배터리, 빠른 반응성을 보여주는 커롬. 15년 07월 최근 시끄러운 배터리 드레인 문제[* 구글 서비스에서 데이터를 동기화하고, Radio를 제대로 종료하지 않아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가 보이지 않는다. Code Blue 마지막 커널과 조합하면, 대기전력은 1시간당 1% 수준이다.
- YotaPhone 2 . . . . 6 matches
전면부에는 AMOLED, 후면부에는 반응속도 빠른 E-Ink Display(16 Grayscale)를 채택했다. 보통 디스플레이가 양면이라면 배터리 좀 많이 잡아 먹겠구나...생각하지만, 소개 동영상을 보면 생각이 확 바뀔 것이다.
1. 악! 지도로 길 찾고 있는데, 휴대폰 배터리가 없어 ㅠㅠ → 지도 화면을 후면에 띄운다. 배터리가 다 닳아도 화면은 그대로 남아 있을 것이다.
1. 배터리 사용 내역을 보면 화면이 50%를 차지하네...뭐 방법이 없을까? → 후면 디스플레이를 적극 활용. 배터리 세이브 모드(?)를 켜면, 후면 디스플레이로 모든 제어를 할 수 있다. 이 경우 배터리 대기 시간은 4~5배 늘어난다.
- GooglePixel . . . . 5 matches
사진도 말끔하게 잘 찍히고, 배터리도 적당해서 잘 사용하고 있다.
* 배터리: 1년만 지나면 배터리 효율이 뚝 떨어진다. Google:"알리익스프레스"에서 호환배터리를 구입해서 교체하거나, 보조 배터리를 들고 다니는 것이 좋다.
- Nexus 5/App . . . . 5 matches
||체리피커처럼 문자를 읽어서 자동으로 가계부 항목을 생성한다.네이버 앱 중에서는 유일하게 배터리 뱀파이어가 아닌듯?
||만보계 app. 구글+ 연동기능, 업적 기능, 간단한 통계 기능(일,주,월간,전체 걸음수)이 있다. 넥서스5에 내장된 pedometer(만보계) 센서 덕분에 배터리 소모량은 극단적으로 적다.
||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oasisfeng.greenify Greenify]||추천 모듈2. 백그라운드에서 계속 호출되면서 배터리 흡혈 app을 잠재울 수 있다. 최신버전부터는 루팅을 하지 않아도 작동한다! ||
||<tablewidth="80%"><TD WIDTH="20%">(네이버 가계부)를 제외한 모든 네이버 App||배터리 뱀파이어. Greenify로 죽여도 되살아 나는 경우가 있다(?)||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android.chrome Chrome]||느리고, 배터리 많이 잡아먹는다. ||
- PebbleTime/Spec . . . . 5 matches
Color E-Ink Display이며, 백라이트를 지원한다. 직사광 아래에서 가장 선명하며, 백라이트 밝기를 높일수록 물빠진 색감이 된다. 배터리를 잡아먹는 주범. 알림이 많을수록 배터리 소모량이 늘어난다. 페블을 좀 더 오래쓰고 싶다면 백라이트 관련 옵션에서 타협을 해야 한다.
=== 전원 & 배터리 (Power & Battery) ===
||배터리
||배터리 지속 시간
- 시계 . . . . 5 matches
* '''Full-Auto-LED light''' : 시간을 보기 위해, 디스플레이 방향을 얼굴쪽으로 꺾으면(약 40도) LED light가 자동으로 켜진다. 주위의 광량을 감지하여, 어두울 때만 켜진다. 배터리 소모량이 만만치 않기에, 자신이 사용하는 시계가 터프솔라 모델이 아니라면 꺼 놓는 것이 좋다.
1. 형광등과 같은 약한 빛으로도 충전되는 태양전지 셀을 내장하고 있다. Spec상 낮의 태양빛을 8분만 쬐어주면 하루 동안 사용할 양을 충전할 수 있다. 배터리 단계는 크게 H/M/L으로 구분된다. L에서 M까지 충전하려면 최소 3시간, M에서 H까지는 22시간, H단계에서 완충하려면 6시간 동안 야외 직사광선을 받아야 한다. M에서 L로 단계가 하락한다는 것은 배터리 상태가 메롱이라는 걸 나타내니, 이틀 정도 날 잡아서 배터리를 완충시키는 것이 좋다. H 단계에서는 그냥 차고만 다녀도 알아서 충전되니 전혀 신경 쓸 필요가 없다.
Color E-ink 디스플레이를 채용한 Wearable SmartWatch. 직사광 아래에서 선명하게 보이고, 4일 이상 지속되는 배터리가 주목받고 있다. 다만 기존 페블 app과의 호환성을 위해, 해상도가 페블 구형과 동일하며, 드넓은 배젤이 아쉽다.
- Chromebook . . . . 4 matches
* [[리눅스]] or [[Windows]]를 설치하려면 Intel x86 계열이 유리하다. 참고로 CPU 클럭 수가 높다고 성능이 더 좋은 아니다. "Intel Celeron N2830 @ 2.16GHz"과 "Intel Celeron 2955U @ 1.40GHz"을 보면, 클럭이 더 높은 N2830이 더 좋아보인다. 그러나 N2830은 시원찮기로 소문한 아톰 프로세서 이름만 셀레론으로 갈아치운 것이며, 성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L2 cache는 1MB이다. 2955U는 하스웰 기반 i3 셀레론으로 L2 Cache는 2MB이다. 그리고 64bit 크롬을 지원한다. [http://goo.gl/7IW2do 단순 벤치마크 결과만 봐도 2955U가 더 좋다]는 것을 알 수 있다. [[BR]][[BR]] 다만 모니터 품질, 해상도, 키보드 키감, 배터리 지속 시간, 무게도 중요한 요소이기에 너무 CPU 성능에 연연하지 말자. 속도가 느리면 배터리 사용 시간이 더 늘어난다.
[[아마존]]에 Processor Spec이 2.2 GHz core_m로 되어 있는 것으로 봐서는, 스카이레이크 코어 M / Core m3-6Y30를 사용하고 있는 것 같다. M3는 아톰 계열 CPU보다 TDP가 낮은 덕분(4.5W)에 발열로 인한 쓰로틀링과 배터리 지속 시간에서 이점이 있다.
2014년에 출시한 크롬북. 대다수의 크롬북이 그렇듯, 맥북 에어를 빼닮았다. 다만 바디가 플라스틱이라 싼티가 난다. [http://www.theverge.com/ The Vergy]에서 '[http://www.theverge.com/2014/6/18/5817400/the-best-chromebook The best Chromebook you can buy]'으로 선정했다. 시야각이 넓고 밝은 IPS FHD(1920x1080) 디스플레이와 넉넉한 4GB 램 덕분에 다른 모델보다 훨씬 쾌적하다. 가격은 크롬북 중에서도 중고가에 속하는 $300~350. 배터리는 평범한 수준. 제조사 공인 9시간 이지만 멀티미디어를 적극 이용한다면 6시간 30분이 한계이다.
- Moto G . . . . 4 matches
||배터리
||일체형. 대기시간은 좋지만, 사용하면 배터리가 광속으로 빠진다. 최적화를 해야 화면 켜놓고 4~5시간을 버틴다. 충전 속도가 빨라서 그나마 다행.
||속도는 느리지만, 크기가 적당하고 배터리가 오래가는 쓸만한 폰.
||기계 갖고 놀기 좋아하는 사람에게 추천. 최적화의 끝은 순정이라는 건, 넥서스 5와는 상관없는 얘기인 것 같다. 다만 휴대용 배터리를 하나 장만할 필요가 있다.
- New iPad . . . . 4 matches
* 배터리 사용 시간은 적당하다. 집에서 2~3시간 사용할 경우, 3~4일은 버틴다. 슬립모드에서도 배터리 소모가 적다.
[[Date(2014-06-30T08:07:32)]] 벌써 아이패드를 구입한지 3년 2개월이 지났다. 살짝 딜레이가 느껴지지만, 아직도 쓸만하다는 게 참 놀랍다. 전자기기는 항상 배터리 유지 시간이 문제인데, 이건 어찌된게 아직도 짱짱하다. 유일한 단점은 무게. 휴대 할때마다 아이패드 에어 or 미니를 구입하고 싶다.
발열, 무게, [[배터리]] 시간, 후면 긁힘 등등의 문제점이 지적받고 있으나, 가장 큰 문제는 액정 품질 불균일과 wifi 접속 오류이다. 화면밝기 100% + 흰색 화면을 띄워놓고 보면 액정이 균일하지 못하다. 심한 경우에는 마치 그라데이션을 준 것 마냥 일부분은 붉그스레하고, 또 일부분은 누렇거나 푸르게 나타난다. 차라리 균일하게 누렇거나, 푸른 색이면 양품에 가깝다(...) 다행히 내가 받은 뉴 아이패드는 균일도 면에서는 합격을 줄 수 있다.
- SL10 . . . . 4 matches
Anha:"소니"에서 출시한 320x320의 고해상도 흑백 액정을 가진 [[Palm]] [[PDA]]. 흑백 기종 중에서는 유일하게 고해상도라서 주목을 받았지만, 액정이 다소 어두컴컴하고 가격이 다소 비싼 부분과, 이왕이면 컬러 기종을 원하는 사람이 많았기에 큰 인기를 끌지는 못했다. 그래도 충전이 필요한 리튬 전지가 아닌 AAA형 배터리 2개로 유지되기에 수요가 있는 편이다. 배터리 충전이 어려운 여행 때 사용하면 좋으리라.
배터리를 분리했을 때에는 메모리 전력을 기기 내부의 콘덴서에 의존하는데, 연식이 오래된 기기의 경우 콘덴서가 제 역할을 하지 못한다. 이 때문에 배터리 교체 시 하드리셋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 SPARQ GTX55-i52410 . . . . 4 matches
2011년 9월에 구입해서 2년 반 동안 잘 써먹고 있다. Power를 꽂아놓고 사용하다보니 기존 배터리 성능이 많이 떨어졌지만, 어차피 붙박이용으로 사용할거라 상관없다.
1. 안정성 높은 부품 사용 : 사실 배터리나 전원 어댑터에 신경쓰는 사람은 별로 없다. 그렇기에 제조사는 묻지마 부품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한성컴퓨터는 그런 예상을 깨고 질 좋은 부품을 사용하고 있다.
* 배터리 : Cell made in Japan
1. 무겁다 : 배터리와 전원 어댑터까지 포함해서 2.5kg이 넘는다. 사실 가격대 성능비 좋은 게이밍 놋북에서 무게까지 가볍기를 바라는 것은 도둑넘 심보다 ;; 그러니 노트북을 자주 옮기지 않으며, 공간은 적게 차지하고, 데스크탑 대용으로 쓸 사람이 아니라면 1.5kg 이하의 울트라씬 제품을 알아보자.
- 잡담/2015/01 . . . . 4 matches
1. [YotaPhone 2] (한화 86만원): 앞에는 AMOLED, 뒷면은 E-ink 패널을 채용한 듀얼 디스플레이 폰. 배터리 소모가 극단적으로 적은 E-Ink 덕분에 사용 시간을 늘릴 수 있다고 생각했지만, 실제로는 그리 큰 영향은 없는 것 같다. 무엇보다 비싼 가격이 옥의 티. 가격이 50만원대로 떨어지거나, 부족한 부분을 개선한 요타폰3가 나오기를.....
고심 끝에 선택한 것은 엉뚱하게도 [넥서스 5]. 가격도 적당하고(중고가 20만원 초반), 갖고 놀기 좋고(롬질), --위키 컨텐츠가 한층 풍성해지고,-- 성능이나 배터리도 만족스럽다. 이 정도면 1년은 충분히 버틸 것이다.
* [http://www.clien.net/cs2/bbs/board.php?bo_table=park&wr_id=35363125&sca=&sfl=wr_subject%7C%7Cwr_content&stx=%EC%9A%94%ED%83%80 전자잉크의 활용이라면 역시]: 요타폰2는 시기상조일라나. 배터리 부분을 소프트웨어로 보완할 수 있을지 궁금하다.
여행을 떠나는 나의 옷차림과 소지품은 그때 그때 다르다. 보통 때는 맘 편하게 오리털 패딩과 Anha:"청바지"를 쑤셔입고, 때로는 상대방을 의식한 듯 깔끔하고 그럴듯한 비지니스 캐주얼을 몸에 걸친다. 그리고 언제나 큼지막한 백팩이 나와 함께 한다. 안에 든 것은 장거리 이동에 필수적인 목배게, 물병, 간식, [보조 배터리], [아이패드] 혹은 [크롬북] 정도. 어깨가 살짝 무겁지만, 이 정도는 챙겨야 마음이 편해진다. --세미 Anha:"생존주의"--
- 홍미노트 4X . . . . 4 matches
가격 / 성능 / 배터리 유지 시간의 3가지 비율을 절묘하게 맞춘 제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배터리는 [http://ruinses.tistory.com/1113 유튜브 1080p, 밝기 50%기준으로 13시간을 버틴다]고 한다. 일상생활 or [[여행]]에서 추가 배터리 팩을 챙기지 않아도 된다는 얘기. 실제로 이 폰을 쓴 이후에는 배터리 충전을 하루에 딱 1번만 한다. (퇴근했을 때)
- GoogleAndroid . . . . 3 matches
[[스마트폰]]을 하나의 네트워크 중계점(AP)로 만들어 주는 기능. 근처에서 Wi-Fi를 찾을 수 없는 상황에서 [[아이패드]],[[노트북]] 등의 기기로 인터넷을 하는 데 큰 도움이 되지만, 스마트폰 데이터와 배터리를 막대하게 소비하니 사용에 주의가 필요하다.
1. 동영상을 감상하는 동안에는 배터리가 광탈하니 미리 전원 케이블을 연결해 놓는다.
* [http://blog.daum.net/_blog/BlogTypeView.do?blogid=0U52t&articleno=165&_bloghome_menu=recenttext#ajax_history_home 배터리 절약 및 상쾌한 사용을 위한 스마트폰 최적화하기 팁!]
- OneplusNord . . . . 3 matches
||배터리 (mAh) || '''4,115''' || 3,140 || 4,000 ||
||배터리 || 2,915 || '''4,115''' ||배터리 유지시간 ▲ ||
- PDA . . . . 3 matches
* Clie SL10 : 모댜와 한달간 떨어져 있을 때, PDA의 원조인 팜이라는 기종에 대한 정보를 얻게 되었고, kpug와 클량의 사용기를 섭렵한 끝에 구매를 결정한 기종. 아니, 결정했다기 보다는 매물이 운좋게 보이길레 결정했을 뿐이다; 암튼 보기드문 흑백 고해상도, 외장 메모리 지원 기종이라 다양한 활용이 가능했지만 stn 못지 않는 잔상과 느린 속도, 얼마 안가 부러져 버린 배터리 덮개 고정부, 키보드 입력 속도의 뒤를 힘겹게 쫒아가는 인식 속도 등의 문제로 기변을 고민하게 된다. 고급스러워 보이는 회색 액정은 아직도 생각난다.
* Clie NR70/v : 3번째로 구입한 os4 컬러 고해상도 기종. sl10의 두배 속도에다가 널찍한 고해상도 컬러 화면은 날 뻑가게 만들었다! 다만 너무 성급하게 구입한 탓에 조금 비싸게 구입했다 ㅜㅜ. 널찍한 화면으로 이북뷰어 / 공학용 계산기 / 게임(미친수족관 등) / 영어 사전 / 웹 클리핑 / 코믹구루 / kinoma player등의 다양한 활용을 해봤지만 결국 완전한 기종은 없다고, 단점이 눈에 띄기 시작했다. 일단 조x 배터리. 리필하면 최장 6시간 까지 간다더만. 리필 실패한건지 백라잇 최저에서 3시간도 채 안돌아가는 모습에 짜증이 쌓이기 시작했다. (2시간 시험인데 공학용 계산기 대용으로 사용중인 피뎅이 전원이 나가는 환장스런 일도 있었다.) 그리고 쓰잘데없는 내장 키보드로 두껍고 길어 휴대성이 많이 떨어졌다. 케이스까지 포함하면 두꺼워져서 주머니 속에 넣으면 축 늘어진 모습이 참...
* Clie [[SJ-33]] : NR70/v와 sl10이 아직 한가족일 때 영입. 누군가 싸게 올려놓은 매물이 있기에 덥섭 물었는데, 알고보니 완전방전되어 배터리 상태가 형편없는 제품이었다. 젠장맞을~ 리필해서 사용해도 되겠지만, 그 두께에 도저히 적응하지 못하고 장터에 낼름 올려버렸다. 내겐 별로 좋은 기억이 없는 기종이다. 이즈음 자금의 압박으로 sl10과 sj33, 그리고 각종 피뎅이 악세사리를 팔기 시작했다. 아, sj33 전 쥔장분이 메모리스틱에 만화책(코믹구루) 자료를 좀 넣어주셔서 팔기전까진 그것만 보고 있었다 -_-;
- WishList . . . . 3 matches
=== 보조 배터리 ===
[[스마트폰]]을 고속충전할 수 있는 보조 배터리가 갖고 싶다.
물론 보조 배터리를 2개 갖고 있기 때문에...또 사는 건 돈 낭비이다.
- XpressMusic N5800 . . . . 3 matches
* 분명히 익뮤 배터리는 1칸 밖에 안남았고, 자꾸 전원이 부족하다고 보채지만 통화 대기 시간 4시간이 넘도록 꺼지지 않는다. 넌 대체 정체가 뭐냐; {OK}
* [http://brucemoon.net/1198141386 nokia 5800 mp3 재생시간 테스트 (배터리 성능)]
'''지적''' : 음량을 1로 설정했으며, 이퀄 및 음장(?)을 켜놓았다는 것을 생각하면 실제 음악 재생 시간은 10시간 남짓이라고 추정해볼 수 있다. 그래도 배터리가 0~1칸인 상태에서 5시간 넘게 대기상태를 유지하는 건 대체 뭐지(...)|}}
- 모토로라 엣지 40 . . . . 3 matches
* 배터리 어떤가요? -> 아쉬운 부분입니다. 용량도 적은편이고 (4400), 속도도 빠르고, 화면도 밝다보니 배터리가 상대적으로 빨리 소모되는 것 처럼 느껴집니다. 반나절 정도 사용하면 (유튭, 간단한 게임, 카메라, 카톡, 웹서핑 등 일상적으로 사용시), 배터리가 50~60% 정도 남아요. 이 상태에서 고속충전하면 4분만에 80%까지, 8분만에 100%까지 충전됩니다.
- 배낭여행 . . . . 3 matches
* 소형 플래시 (AAA배터리, 생활방수)
* [[보조 배터리]]
* [[카메라]], 추가 배터리, 삼각대
- ASUS C302 . . . . 2 matches
2017.02.27 현재 [[아마존]]에서 사용자 별점 4.4/5라는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기기 완성도 / 성능 / 편의성 / 휴대성 등, 사용자들의 호평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소비전력 대 성능비가 좋은 Intel m3 CPU를 채용하여 저전력&무소음 설계를 한 점, 오래가는 배터리 (8~9시간), 비교적 넓은 저장소(64GB), 키보드 백라이트 등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가 높다.
* 오래가는 배터리: 실 사용 7~9시간.
- Eye-Fi . . . . 2 matches
Wi-Fi 기능이 없는 카메라에서 아주 유용하다. 배터리 소모량은 눈에 띄게 늘어나니, 미리 여분의 배터리를 챙겨놓는 것이 좋다.
- Gigabyte New Aero 15W . . . . 2 matches
- i7 9세대 CPU / 16GB 메모리 / NVMe 512GB / RTX2060 6GB / 6세대 와이파이 / RGB 라이팅 키보드 / 지문인식 / 내장배터리 94.2Wh / 무게 2kg / 충전어댑터 230W
== 배터리 ==
- MDR-1ABT . . . . 2 matches
* [[ZX100]]: 소니 워크맨 전용 OS. Hi-Fi 입문용으로 좋다. OS가 안드로이드가 아니라서 배터리 지속 시간이 꽤 길다. 중고가 3~40만원.
블루투스 유닛, DAC, 배터리, 터치 센서 등이 내장된 탓인지 부피/무게가 상당하다.[* 무게 때문에 목이 뻐근해서 오래 사용하기 어렵다는 얘기를 인터넷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리고 남자 치고 머리가 작은 편인 나도 요다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 없었다. 그냥 그려러니 하고 살아야 할 듯. 그리고 목에 걸면 목이 살짝 졸리는 느낌을 받는데, 머리 크기 조절용 기어를 끝까지 당기면 좀 낫다.
- NW-S786 . . . . 2 matches
1. '''오래가는 배터리''': 최장 77시간 ([노이즈 캔슬링] off). 노캔 기능을 활성화하면 20~30시간 내외 사용 가능하다. 충전 속도도 빨라서 10분만 충전해도 몇 시간을 사용할 수 있다. 배터리 성능이 떨어지면, '태극전기' 등의 사설업체에서 리필할 수 있다.
- PS Vita . . . . 2 matches
* PS Vita 2세대: LCD Display, 5핀 USB 케이블[* 스마트폰과 동일], 기능을 알수 없었던 단자 삭제[* TV out 단자로 추정], 1세대보다 가볍다. 아날로그 스틱 내구성에 문제 있음. 배터리 시간 연장
* 충전 : 전용 USB 및 충전 케이블로만 충전이 가능하다. 참고로 소니에서 정식 발매한 배터리 팩 이외에는 충전이 불가능하다! 그리고 USB와 PC를 연결해서 충전하는 도중에는 게임 플레이가 불가능하다.
- PebbleTime . . . . 2 matches
스테인레스 재질로 한층 고급스러워 보이는 Google:"페블 타임 스틸"도 8월부터 주문받고 있다. 가격이 은근히 비싸지만, 배터리 오래가고 / 디자인 우월하고 / 디스플레이 시인성이 좋아져서 많은 사람들이 노리고 있다. 스틸, 가죽 시계줄로 교환하면 한층 멋있다. 기존 페블타임이 캐주얼한 느낌이라면, 페블타임 스틸은 격식있는 자리에 잘 어울린다. --격식있는 자리에 슈퍼마리오 와치 페이스를 사용하면--
* Battery+: 배터리 사용 내역 기록
- SOUNDONUT . . . . 2 matches
[[Date(2016-09-08T11:17:19)]] 아직도 종종 사용한다. 오래 방치해놨기에 배터리가 맛이 갔을 줄 알았는데, 꽤 쓸만하다. 배터리가 완전 방전되더라도 USB 케이블을 끼우면 계속 써먹을 수 있다.
- Smartphone . . . . 2 matches
* [[넥서스 5]]: 배터리와 발열이 문제
* [[넥서스 5X]]: 넥서스 5보다 배터리는 늘었지만, 하루종일 쓰기에는 불편함이 많다.
- YuandaoAndroidPad . . . . 2 matches
5인치 안드로이드 패드. N12와 해상도가 동일하다. 덕분에 화면은 더 선명해 보이며, 화면 전환이 빠르다. 디자인은 갤탭을 작게 줄여놓은 것 같다. 배터리는 3200mAh. 멀티미디어 용도로 사용했을 경우 7시간은 충분하지 않을까?
지금으로서는 1.0도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더 빠르면 좋겠지만, 시간당 배터리 소모량이 증가할 테니깐요. -- [파초] [[DateTime(2011-11-27T15:34:43)]]
- ZX100 . . . . 2 matches
* 소니 워크맨 자체 OS를 사용하고 있어, [[안드로이드]] 버전보다 배터리 관리에 용이하지만, 불편한 UI는 시간이 흘러도 개선되지 않는다. 곡 하나 찾으려면 버튼을 누른채 멀뚱멀뚱 기다려야 하고, 기기 자체에서 플레이 리스트를 만들거나 곡을 삭제할 수도 없다. PC가 없다면 제대로 사용하기 힘든 기기이다.
* [[MDR-1ABT]]: 어느정도 출력이 받쳐주는 건지, 볼륨을 좀 올리면 꽤 들을만 하다. 물론 앰프를 중간에 물리면 더 낫겠지만...적어도 1ABT 배터리가 바닥을 드러냈을 때는 직결해서 음악을 들어야 겠다.
- c500 . . . . 2 matches
흑백이라 직사광 아래에서도 화면이 선명하며, 백라이트를 켜놓아도 배터리가 오래 지속되며, 외장 SD메모리를 지원한다. m500과는달리 겨자색 백라이트를 지원하는데, 흑백이 반전되는 것이 독특하다. 다만, 애매한 밝기에서는 켜놔도 소용이 없다. 이왕이면 밝은 곳에서 사용하자.
* [E-Book] Reader : [c500]의 빵빵한 배터리 + 어두운 곳에서 눈에 편한 겨자색 백라이트 + 직사광에서 잘 보이는 흑백 액정 덕분에 텍스트로 된 책을 편하게 볼 수 있다.
- m515 . . . . 2 matches
* [http://cgi.ebay.com/1000mAh-BATTERY-PDA-for-PALM-PalmOne-M500-M505-M515-BPP_W0QQitemZ350344023265QQcategoryZ20336QQcmdZViewItemQQ_trksidZp4340.m263QQ_trkparmsZalgo%3DDLSL%252BSIC%26its%3DI%252BC%26itu%3DUCI%252BIA%252BUA%252BFICS%252BUFI%252BDDSIC%26otn%3D20%26po%3D%26ps%3D63%26clkid%3D9066132092468504977#ht_4096wt_1014 1000mAh 배터리 및 별 나사 US $13.95]
* [http://cgi.ebay.com/BATTERY-FIT-PALM-M515-M500-M505-IBM-WorkPad-c500-/280499794722?cmd=ViewItem&pt=PDA_Accessories&hash=item414f173322#ht_2844wt_939 m500 시리즈 배터리 키트, 무료 배송 $10.99]
- z22 . . . . 2 matches
1. [NVFS]를 지원하는 OS 5.4 Garnet를 채택했기에 배터리가 방전되어도 내부 데이터가 날아가지 않으며, 배터리 지속시간이 길다.
- 고정비 줄이기 . . . . 2 matches
* 집에서 인터넷을 사용하는 시간이 짧으며, IPTV등을 보지 않는다면 휴대폰 핫스팟을 사용하면 연간 264,000원을 절약할 수 있다. 다만 휴대폰 배터리 수명이 빠르게 줄어든다. (배터리 사용횟수 증가, 발열 등)
- 노이즈 캔슬링 . . . . 2 matches
1. 노캔 [이어폰]: 마이크, 배터리, 분석용 Chip이 연결되어 있어 거추장스럽다.
* Google:"BOSE QC20", "BOSE QC30": 크기가 작으나, 별도의 배터리 박스 (일명 '껌통')이 덜렁거리는 게 거추장스럽다.
- 올림푸스 . . . . 2 matches
* --[http://ko.aliexpress.com/wholesale?catId=0&initiative_id=SB_20160504083633&SearchText=BLN-1 BLN-1 배터리]-- 가품일 확률 높음.
* BHphoto에서 정품 refresh 배터리로 보이는 물건을 저렴하게 판매 중임. 구입해서 잘 사용함
- 잡담/2017 . . . . 2 matches
다만 디스플레이 밝기 / 사운드 크기가 살짝 불만이다. 정오에 창가 근처에서 7~80% 정도의 밝기로 키워야 눈이 편안하다. 살짝 어두운 곳 or 야간에는 밝기가 세밀하게 조절되니 좋을 것 같다. 그리고 음량도 조용한 곳에서 7~80%는 키워야 들을만하다. 배터리 지속시간을 위해 일부러 스펙을 다운시킨 것으로 추정된다. 나중에 인위적으로 키우는 방법이 있으려나???
클레버 6포트 충전기로 충전해보니 "저출력 충전기"로 인식된다. 음악들으면서 글을 작성해보니, 엄청~ 느린 속도로 충전이 진행된다. 동영상을 재생한다거나...게임을 할 때에는 오히려 배터리 게이지가 바닥으로 향할 것이다.
- Amazon . . . . 1 match
한국 쇼핑몰에서는 일반적으로 "물건 좋아요. 배송 빨라요."와 같은 천편 일률적인 구매 후기가 눈에 띄지만, 아마존 구매자 리뷰는 다르다. 별점과 상세 리뷰글이 물품 구매에 큰 도움이 된다. 예를 들어 [[보조 배터리]] 같은 제품에는 '실제 출력 전류', '사용 시간', '충전 시간' 등 상세 리뷰가 등록된다.
- Funshop . . . . 1 match
* [[IMP1000]] (휴대용 배터리)
- LocalKeywords . . . . 1 match
배터리 충전
- NR70 . . . . 1 match
타블렛처럼 액정을 한바퀴 회전시킬 수 있기에 많은 주목을 받았다. 들고다니면 전화기 아니냐는 소리를 많이 듣게 된다. os4.0이라 프로그램 호환성이 좋은 편이며, 고해상도라서 한층 더 깔끔해 보인다. 다만, 조ㄹ 배터리라서 액정 밝기를 최대로 하고 사용하다보면, 어느새 경고 메시지가 화면을 뒤덮는다.
- Nokia X6 . . . . 1 match
||배터리||Li-Ion 1320 mAh||
- Pebble2 SE . . . . 1 match
20년 현재 사용하고 있는 스마트와치. 가볍고 배터리 오래가고, 디스플레이 시인성이 좋다. 비록 페블이 핏빗에 인수되면서 서버지원이 중단되었으나, rebble.io라는 구세주가 등장했다. 페블을 새로 구입하기는 어렵지만, 페블의 수명이 다할 때까지는 이용할 수 있으리라.
- SJ33 . . . . 1 match
[[Palm]] !OS4 기기 중에서 최고 사양과 넉넉한 배터리를 갖췄으나, 그만큼 두꺼워서 Anha:"햄버거"라는 별명으로 불렸었다. 멀티미디어 칩이 내장되어 있어 음악, 동영상 감상 용도로 많이 사용되었다.[* 물론 CPU 속도가 느리니 인코딩은 필수.] 액정을 보호하는 플라스틱 투명 덮개 덕분에 덮개를 들어올리지 않아도 액정을 볼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막상 덮개를 들어올리면 걸리적 거려 떼거나 잘라버리는 사람도 있었다. 당시에는 액정보호필름을 거의 사용하지 않았기에, 중고를 구입하면 비쥬얼드 자국이 진하게 남아있는 폐급이 배송되는 경우도 종종 있었다.
- SmartWatch . . . . 1 match
* [[Pebble Time]], Pebble2 : 배터리 오래가는 참 좋은 스마트와치였으나, 회사가 망해버렸다.
- TG50 . . . . 1 match
* TG50 본체 : 추락사. 수술도 해봤지만 어디가 문제인지 찾을 수 없었음. 전원을 올리거나 리셋을 하면 불은 들어오지만 소리가 안나는 걸로 봐서 보드 고장이 확률이 높다. 현재 멀쩡한 모듈로는 '''키패드, 전원 버튼, 휠 버튼, 메모리 스틱 모듈, 사운드 모듈, 블루투스 모듈, 액정 스크린, 터치 스크린'''이 있다고 추정. 배터리는 완전방전 되었음
- ViPER4Android . . . . 1 match
자신만의 음색을 만들 수 있으나, 과도한 경우 음색이 왜곡될 수 있다. 또한 CPU로 과도한 연산을 할수록 배터리 소모율은 높아지니 적당히 사용하자.
- zire21 . . . . 1 match
Serial cable 대신 USB를 채택하여 빠른 싱크와 충전을 겸용하게 했으며, 작고 깔끔한 흰색 바디와 저가로 주목을 받았지만[* 출시 당시 미국에서는 대학생이 가장 가지고 싶은 PDA에 선정되기도 했다.] 백라잇과 sd가 지원되지 않아 그리 큰 인기는 얻지 못했다. 100$라는 저가형임을 내세울 수 있는 가격 마지노선을 넘지 않기 위한 선택이라는 것은 이해하지만, 밀려드는 아쉬움은 어쩔 수 없다. 그래도 백라잇과 SD 모듈이 지원되지 않았기에 무게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었고 배터리도 상당히 오래 버텨주었다. 또한 내부 구조가 단순해서 아무리 떨어뜨려도 고장이 잘 나지 않는다.
- 귀신 . . . . 1 match
* 보조 배터리
- 리디 페이퍼 프로 . . . . 1 match
|| 배터리 용량
- 모디아 . . . . 1 match
1. PDA라서 부팅이 필요없으며, 배터리가 상당히 오래간다. (평균 5~6시간)
- 스피커 . . . . 1 match
* 배터리 시간은 다소 아쉽
- 이어폰 . . . . 1 match
[[블루투스]] 전용 이어폰. SBC 코덱을 채용하고도 음질이 좋으며, 배터리 유지 시간이 8시간이라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 제주도 . . . . 1 match
* PC는 무겁고 커서 휴대가 불가능하고, 놋북은 경제사정으로 가지고 있지 못한 나에게 PDA는 정말 한줄기 빛과도 같은 물건이었다. [zire21]은 흑백이라서 배터리 소모량도 무지무지 적은 덕분에 제주도에 있던 2박 3일 동안 가계부/일지 작성/학회 관련 메모/이북 용도로 요긴하게 잘 써먹었다.
- 중고 . . . . 1 match
1. 직거래한다.: 판매자가 고의로 해당 제품의 문제를 알리지 않을 확률이 높으며[* 배터리 방전, 디스플레이 흠집, 나사 분실 등등], 악질 판매자를 만난경우 구입하기로 했던 제품 대신 벽돌이나 물이 채워진 생수병이 택배로 전달되기도 한다.
- 크레마 터치 . . . . 1 match
* 배터리 : wifi를 끄고 사용한면 일주일 정도는 버틴다고 한다.
Found 75 matching pages out of 806 total pages
You can also click here to search ti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