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atlabDay1 . . . . 3 matches
Matlab Editor에서 주석문자인 %%을 사용해서 Cell을 구분할 수 있다. 한 Editor안에서 구분된 Cell은 따로 실행할 수 있다.
Command Window, Editor에서 명령어 일부를 타이핑하고 Tab을 누르면 관련 명령 목록이 주르륵 나타난다. 명령어 안의 변수들도 Tab을 사용할 수 있다.
- Chromebook . . . . 2 matches
||크롬 웹앱 또는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 포토샵(안드 App)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인터페이스가 다소 불편하다. 대체 프로그램으로 Polar Photo Editor를 추천한다. 참고로 크롬북에 SD카드를 삽입하면 자동으로 '구글 사진'에 사진 파일을 업로드&자동보정해 준다. (용량 선택 가능)
||graphical text editor
||[https://chrome.google.com/webstore/detail/wevideo-video-editor-and/okgjbfikepgflmlelgfgecmgjnmnmnnb?hl=ko WeVideo]
||Simple Video Editor and Maker
- PolarPhotoEditor . . . . 2 matches
#keywords Photo, Editor, RAW
#title Polar Photo Editor (PPE)
- WikiSlide . . . . 2 matches
== Using the Editor ==
== Tips on the Editor ==
Within the editor, the usual hotkeys work:
(!) In UserPreferences, you can set up the editor to open when you double click a page.
Tables appear if you separate the content of the columns by `||`. All fields of the same row must be also on the same line in the editor.
- AffinityPhoto . . . . 1 match
#keywords Photo, Editor, Tip
- AptanaStudio . . . . 1 match
#keywords CSS, HTML, XML, JS, Editor, Windows, Free, Software
- Notepadplusplus . . . . 1 match
#keywords Editor, Text, SourceCode, Free, Windows, Programming, BOM, Unicode, MoniWiki, Python, Tip
Reopen NP++, and now it's easy and nice to run any python file strait from the editor.
- WindowsLiveWriter . . . . 1 match
#keywords Editor, Windows, Blog, Publish, Free
- XpressMusic N5800/CFW . . . . 1 match
1. 다운받은 파일 중에서 RM-356_51.0.006_prd.rofs2.V01를 NokiaFirmwareEditor를 사용해서 압축해제 한다.
- vi editor . . . . 1 match
#keywords Unix, Liniux, Editor
- 모니위키/수식 사용하기 . . . . 1 match
1. Online LaTeX Equation Editor를 사용하는 플러그인 적용
- 위키위키/저자동고유연성 . . . . 1 match
워드프로세서(정확하게 말하자면 텍스트 에디터)의 경우를 보죠. 처음 에디터는 라인 에디터입니다. 여기선 수정의 단위가 "라인"입니다. 예컨대 세번째 줄과 네번째 줄 사이에 뭘 넣으려면, 예컨대, "/i{3}/아자차카/" 뭐 이런 식이죠. 거의 모든 명령을 사용자가 직접 지시를 해야하고 에디터가 알아서 해주는 것은 없습니다. 즉, 사용자의 명시적 동작없이 자동으로 작동하는 기능이 거의 없습니다. 자동성이 낮은 것이죠. 또한, 유연성도 낮습니다. 이 명령과 저 명령을 결합해서 새로운 기능을 창출해 내지 못하고, 자신이 사용하는 에디터가 요구하는 道를 무조건 따라야 합니다. 여기서 발전한게 소위 프로그래밍 가능한 에디터(Programmable editor)입니다. 매크로 기능을 극적으로 확대한 경우죠. 에디터 자체가 제공하는 자동성은 거의 없지만 -- 너무 단순합니다 -- 명령과 명령을 붙이고, 수정하고 조정해서 자신이 원하는 기능을 거의 모두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이게 발전하면 자동성이 점점 높아지게 되죠. 고자동고유연의 시대가 오는 겁니다. 그러면 고자동저유연의 제품이 등장합니다. 우리가 요즘 흔히 보는 초보자용, 대중적 워드프로세서들이 되겠죠. 이건 일종의 하향 평준화입니다. 즉, 자신이 초보자거나 전문가거나 상관없이 그 에디터가 제공하는 기능의 수준에 얽매여야 합니다. 자신과 에디터로 구성된 그 시스템은 전체적 발전이 거의 없습니다. 반면, 아까 말한 저자동 고유연 시스템인 경우, 초보자들은 "초보자 수준"에서 그 에디터를 사용할 수 있고, 자신이 점점 똑똑해지면서 "전문가 수준"으로 쓸 수 가 있습니다. 시스템(유저+에디터)이 함께 진화하는 것이지요. 그런데, 요즘의 워드프로세서는 유연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새로운 문제가 발생했을 때 해결을 잘하지 못합니다. 조만간 이 시스템은 저자동저유연의 죽은 시스템이 될 겁니다. 이 때 누군가가 새로운 유연성을 제공하게 되겠죠. 그러면 그 시스템은 그 새로운 문제를 거의 "자발적"으로 해결할 수 있게 될 겁니다.
> I (3) 유저 + p-editor
see also ViEditor
Found 12 matching pages out of 806 total pages
You can also click here to search title.